서울 전셋값 0.01% ↓… 신도시는 0.03% ↑

서울 전셋값 0.01% ↓… 신도시는 0.03% ↑

입력 2012-10-08 00:00
업데이트 2012-10-08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추석 연휴가 있었던 지난주 서울과 수도권의 매매시장은 별다른 움직임이 없었다. 반면 전셋값은 신도시를 중심으로 소폭 상승하는 모습을 보였다. 지난주 서울의 전셋값은 0.01% 내렸지만 신도시는 0.03% 올랐다. 시장에서는 지난 2년간 서울지역 전셋값 상승을 피해 신도시로 이주하는 사람들이 늘어났기 때문으로 분석하고 있다.

서울 광진구는 매물은 많지만 매수세는 없었다. 자양동 대원리버빌 105㎡는 1000만원이 하락해 4억 5000만~4억 9000만원에 매물이 나왔다. 현대9차 110㎡는 500만원 내린 4억 8500만~5억 8000만원에 물건을 찾을 수 있다. 영등포구도 조용했다.

양평동2가 상록수 82㎡는 1000만원 내린 2억 3000만~2억 6000만원이다. 강동구는 둔촌주공 재건축 단지의 급매물이 추석 전에 정리되면서 호가는 상승했지만 추가 매수세는 없었다. 둔촌주공1단지 51㎡는 500만원 오른 5억~5억 5000만원선에 가격이 형성됐다.

전세는 대체로 조용한 가운데 지역에 따라 혼조세였다. 송파구는 추석 후 전세 문의가 늘면서 전셋값이 소폭 올랐다. 잠실동 트리지움 142㎡는 500만원 오른 6억~6억 7500만원에 전세 물건이 나와 있다. 은평구는 뉴타운 등의 전세 물건이 소진되면서 가격이 상승했다. 갈현동 대림e-편한세상2단지 152㎡는 2억 2000만~2억 7000만원이면 전세를 구할 수 있다.

신도시와 수도권의 전셋값은 꾸준히 오르고 있다. 분당 수내동 푸른마을쌍용 72㎡는 500만원 상승한 2억 1500만~2억 2500만원에 전세계약이 이뤄지고 있다. 인천 남동구도 손님은 많지만 물건이 부족하다. 특히 소형 아파트 소진 속도가 빠르다. 인천 서창동 현대모닝사이드 192㎡의 전세가격은 1000만원 올라 1억 4000만~1억 6000만원선이다.

김동현기자 moses@seoul.co.kr

2012-10-08 23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