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번 충전해 서울 → 세종시… 전기차 시대 시동

1번 충전해 서울 → 세종시… 전기차 시대 시동

입력 2013-08-28 00:00
업데이트 2013-08-28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국지엠 스파크EV 공개

한국지엠이 27일 전기차 스파크EV를 내놓으면서 국내 전기차 시장의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르노삼성의 SM3 Z.E가 오는 10월 본격 출시되고, 2011년 국내 첫 양산 전기차 레이EV를 내놓은 기아자동차는 내년 초 쏘울의 전기차 모델을 선보일 예정이다. 현대자동차는 2015년 출시를 목표로 준중형급 전기차를 개발 중이다. BMW도 내년 전기차 i3로 국내 시장에 뛰어들 계획이어서 바야흐로 전기차 전성 시대가 도래했다.

세르지오 호샤 한국지엠 사장이 27일 인천 서구 원창동 청라 프루빙 그라운드에서 열린 신차 발표회에서 순수 전기차 쉐보레 스파크EV를 가리키며 설명하고 있다. 연합뉴스
세르지오 호샤 한국지엠 사장이 27일 인천 서구 원창동 청라 프루빙 그라운드에서 열린 신차 발표회에서 순수 전기차 쉐보레 스파크EV를 가리키며 설명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날 인천 서구 원창동 청라 프루빙 그라운드에서 공개된 스파크EV는 한 번 충전하면 최대 135㎞를 주행할 수 있다. 한국지엠 수석엔지니어인 이병직 상무는 “국내 전기차 가운데 주행가능 거리가 가장 길고, 서울에서 세종시까지 한 번에 갈 수 있다”고 말했다. 영구자석 전기 모터에 기반을 둔 드라이브 유닛 덕분에 동급 최고의 최대 출력(143마력)과 최대 토크(57.4㎏·m)를 발휘한다. 전기차 특유의 힘이 달리는 느낌이 적고 반응 속도도 개선됐다. 시속 0㎞에서 100㎞를 주파하는 데 걸리는 시간인 제로백이 8.5초로 준중형급 가솔린차량(9~10초)보다 빠르다.

스파크EV의 가격은 3990만원이다. 환경부와 지방자치단체의 보조금을 최대 2300만원 지원받으면 1690만원에 구입할 수 있다. 세르지오 호샤 한국지엠 사장은 “1년에 1만 5000㎞를 주행한다고 가정할 때 7년 동안 1208만원의 연료비를 아낄 수 있다”고 밝혔다. 배터리 등 부품의 보증조건도 8년 또는 16만㎞로 업계 최고 수준으로 높였다.

전기차들이 잇따라 출시되고 있지만 보급이 활성화되려면 아직 멀었다는 게 자동차 업계 안팎의 평가다. 배터리 충전소 등 인프라 시설이 부족한 게 가장 큰 원인이다. 6~8시간 걸리는 완속충전기는 수도권과 제주도 등을 중심으로 1000대가 보급돼 있지만 급속충전기는 80여개로 모두 공공용이다.

업체마다 각기 다른 배터리 충전 방식도 전기차 활성화의 걸림돌이 되고 있다. 스파크EV는 미국과 유럽에 보편화된 콤보 방식을 적용했지만 레이EV는 직류(DC) 차데모 방식을 쓰고, 르노삼성은 교류(AC) 3상 방식을 쓴다. 휴대전화 제조사마다 충전단자 모양이 달라 소비자들이 불편을 겪었던 것처럼 전기차 충전 방식도 표준화가 안 돼 있어 혼선이 빚어지고 있는 것이다.

자동차 업계 관계자는 “전 세계적으로 전기차 충전 방식이 통일되지 않은 상태에서 표준화 주도권을 잡기 위한 업체들의 신경전이 치열하다”면서 “국제 표준규격이 만들어지는 대로 국내 충전 방식도 한 가지로 합쳐지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4000만원 선인 전기차의 가격도 개인이 소유하기엔 부담스러운 수준이다.

환경부는 공공기관이 전기차를 구입할 때 대당 1500만원을 지원하고 있지만, 개인 구매자는 지원 대상에서 빠졌다. 지자체 보조금도 환경부가 선정한 10대 전기차 선도도시(제주, 서울, 대전, 춘천 등)에서 최대 800만원까지만 지원된다.

오달란 기자 dallan@seoul.co.kr

2013-08-28 19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