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입차 소비자피해 크라이슬러가 최다

수입차 소비자피해 크라이슬러가 최다

입력 2013-08-28 00:00
업데이트 2013-08-28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아우디·GM·폭스바겐 순 많아

서울에 살고 있는 한 개인사업자는 최근 1억원 상당의 수입 자동차를 샀다. 국산 차보다 엔진, 안전장치 등 모든 성능이 뛰어날 것이라고 기대했지만 차를 산 지 한 달 만에 덜컥 고장이 났다. 강변북로를 달리던 중 시동이 꺼져 큰 사고까지 당할 뻔했다.

최근 수입차 판매가 늘어나면서 갑작스러운 고장 등 소비자들의 피해도 급증하고 있다. 특히 엔진 고장, 급발진 등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피해 사례가 많아 소비자들의 주의가 요구된다.

한국소비자원이 27일 발표한 ‘최근 5년간 수입 자동차 소비자 피해 접수 추이’에 따르면 2008년부터 지난해까지 접수된 수입차 관련 소비자 피해는 총 609건이다. 수입차 판매가 2008년 6만 1648대에서 2012년 13만 858대로 2배 이상 늘어나면서 소비자 피해 건수도 같은 기간 56건에서 187건으로 급증했다.

14개 수입차 업체의 판매 대수 1만대당 소비자 피해 건수는 크라이슬러 코리아가 14.7건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아우디 코리아 13.7건, GM 코리아 13.5건, 폭스바겐 코리아 11.7건 등의 순이었다. 국내 수입차 판매량 빅3인 BMW 코리아, 메르세데스벤츠 코리아, 토요타 코리아 등은 각각 7.9건, 7.1건, 4.2건 등으로 상대적으로 피해 건수가 적었다.

피해 유형별로는 ‘품질 미흡’이 400건(65.7%)으로 가장 많았고 ‘A/S 미흡’ 50건(8.2%), ‘계약 불이행’ 33건(5.4%)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품질 미흡 중 138건(34.5%)은 엔진 고장이 문제였다. 소음 발생(53건), 도장 불량(40건) 등이 뒤를 이었지만 변속기 고장(27건), 급발진(12건), 제동 불량(11건) 등 운전자의 생명을 위협하는 피해 사례도 많았다.

장은석 기자 esjang@seoul.co.kr

2013-08-28 17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