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재기’ 꼬리표 떼기 위해 노력하는 음원 플랫폼 업체들

‘사재기’ 꼬리표 떼기 위해 노력하는 음원 플랫폼 업체들

한재희 기자
입력 2020-03-19 18:31
업데이트 2020-03-19 18:3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사재기 막기 위해 ‘팔 걷어 붙인’ 음원 플랫폼

국내 음원 플랫폼 업체들이 ‘사재기 순위차트’라는 꼬리표를 떼기 위해 노력 중이다. 일부 가수들이 사재기를 통해 음원차트에 진입하는 것 아니냐는 의혹이 수년간 끊이지 않자 플랫폼 업체들이 직접 ‘차트 손보기’에 나선 것이다.

플로는 19일 기존에 운영 중이던 실시간 차트를 폐지하고 ‘플로 차트’를 새롭게 도입하겠다고 밝혔다. 실시간 차트는 최근 1시간 사이의 인기 순위를 반영하는데 이 기준을 24시간으로 바꾸겠다는 것이다. 집계 시간이 1시간이면 짧은 시간 동안 사재기 공작을 벌여도 ‘톱100’ 순위표에 오를 수 있는데 24시간으로 넓히면 상대적으로 차트가 왜곡될 여지가 줄어든다. 실시간 차트는 현재 가장 많이 듣는 곡을 즉각적으로 알 수 있다는 순기능이 존재하지만 그로 인해 ‘음원 사재기’가 횡행하는 역기능이 더욱 부각되자 이를 과감히 포기한 것이다. 국내 3위 업체로서 도전자 입장인 플로는 실시간 차트를 과감히 던져 버림으로써 1~2위 업체인 멜론, 지니뮤직과의 차별성을 꾀하겠다는 전략도 있다.
네이버 제공
네이버 제공
네이버가 운영하는 바이브도 최근 음원 저작권료 정산 방식의 개편을 추진하며 ‘사재기 논란’을 잠재우려 노력 중이다. 기존의 ‘비례배분제’ 정산 방식을 ‘이용자 중심제’로 바꾸겠다는 것이다. 비례배분제에 따르면 A라는 이용자는 100% 방탄소년단의 노래만 들었음에도 바이브 전체 이용자들이 방탄소년단의 음악을 거의 안 들었다면 A가 낸 구독료의 대부분은 다른 음원의 저작권자가 가져가게 된다. 바이브 전체 이용자들이 낸 구독료를 모두 모아 이것을 플랫폼 전체에서 많이 소비된 음원 비율대로 나눠주기 때문에 ‘톱100 차트’에 오른 저작권자에게 돌아가는 돈이 많다. 하지만 이용자 중심제는 A가 100% 방탄소년단 노래만 들었다면 A가 지불한 구독료에서 나오는 저작권 수익은 오로지 방탄소년단 쪽으로 건네지게 된다. 톱100 차트에 진입하는 것의 중요성이 줄어서 사재기 논란도 잦아들 것으로 회사는 기대하고 있다.

멜론이나 벅스뮤직 등도 기존에 하고 있던 비정상적인 이용 패턴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하는 동시에 사재기를 근절할 또 다른 방안이 있을지 고민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플랫폼 업계의 ‘차트 손보기’는 한동안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한재희 기자 jh@seoul.co.kr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