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사업·모바일 광고에… 격차 더 벌어진 포털 3사

해외사업·모바일 광고에… 격차 더 벌어진 포털 3사

입력 2013-08-10 00:00
업데이트 2013-08-10 00:0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2분기 실적 비교해보니

국내 포털 3사의 ‘빈부 격차’가 더 벌어졌다. 해외 사업과 모바일 플랫폼의 성과 여부가 3사의 표정을 갈랐다.
이미지 확대


9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와 업계에 따르면 네이버는 지난 2분기 매출 7226억원, 영업이익 1942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직전 분기 대비 각 7.3%, 1.6% 증가한 수치다. 다음은 연결기준 매출 1325억원(전기 대비 6.1%↑), 영업이익 239억원(5.7%↑)을 기록했다. SK커뮤니케이션즈(SK컴즈)는 이번에도 적자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SK컴즈의 매출은 359억원으로 전기 대비 8.5% 상승했지만 영업손실 74억원을 기록했다. 단, 손실 폭은 전기 대비 28.4%가 줄어 개선의 기미를 보였다.

포털 3사의 실적은 해외 사업 성과에 좌우됐다. 네이버는 지난달 가입자 2억명을 돌파한 글로벌 메신저 라인이 실적을 끌어올렸다. 네이버의 2분기 해외 매출은 전체 매출의 28%인 1991억원으로 전기 대비 30.0%, 전년 동기와 비교해서는 107.4% 성장했다. 반면 다음과 SK컴즈는 2분기에 해외 사업에서 뚜렷한 성장 동력을 찾지 못했다.

대신 다음은 모바일 광고 플랫폼 사업이 실적을 어느 정도 뒷받침했다. 2분기에는 대형 이벤트가 없었지만 모바일 광고 플랫폼 ‘아담’의 성장으로 광고 매출 감소 폭을 줄였고, 모바일 검색 광고 매출은 지난해 말 대비 60% 이상 높아졌다. SK컴즈는 다운로드 3000만명 돌파를 앞둔 애플리케이션(앱) ‘싸이메라’ 등으로 기대를 모았으나 2분기에는 실적으로 연결되지 않았다.

포털 3사의 실적은 하반기에도 해외 사업과 모바일 사업에서 성패가 갈릴 것으로 보인다.

네이버는 라인을 중심으로 해외 시장을 계속 확대할 방침이다. 다음은 모바일 광고 기업 티엔케이팩토리를 인수하는 등 모바일 광고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SK컴즈는 대형 플랫폼으로 성장한 싸이메라에서 본격적으로 수익을 창출할 계획이다. SK컴즈 관계자는 “하반기 모바일 기반 신규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준비하고 있다”며 “올해 안에 연속 적자 행진에서 벗어나도록 할 것”이라고 전했다.

강병철 기자 bckang@seoul.co.kr

2013-08-10 10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