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대용PC 세 제품’ 서울신문 기자가 써보니

‘휴대용PC 세 제품’ 서울신문 기자가 써보니

입력 2012-02-11 00:00
업데이트 2012-02-11 00:4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졸업·입학 시즌을 맞아 다양한 모바일 제품들이 선물용으로 인기를 얻고 있다. 이 가운데 최근 들어 슬레이트PC와 울트라북, 태블릿PC 등 휴대성과 성능을 겸비한 PC 제품들에 대한 선호도가 높다. 용도가 비슷한 이 세 제품은 구체적으로 어떤 차이가 있을까. 서울신문 취재진이 삼성전자의 도움을 받아 이들 제품을 각각 빌려 써 보았다.

이미지 확대
10일 오후 본사 편집국 회의실에서 산업부 홍혜정(왼쪽부터)·류지영·이두걸 기자가 시리즈 7 슬레이트 PC와 시리즈 5 울트라북, 갤럭시 10.1을 테스트해 보고 있다.  박지환기자 popocar@seoul.co.kr
10일 오후 본사 편집국 회의실에서 산업부 홍혜정(왼쪽부터)·류지영·이두걸 기자가 시리즈 7 슬레이트 PC와 시리즈 5 울트라북, 갤럭시 10.1을 테스트해 보고 있다.

박지환기자 popocar@seoul.co.kr


>>슬레이트 PC

오피스 활용도 굿 높은 가격은 부담

류지영(이하 류) 지금 보니 두 분 모두 슬레이트PC에 제일 관심이 많으시네요. 슬레이트PC는 마이크로소프트(MS)의 윈도 운영체제(OS)를 탑재한 모바일PC를 말해요. 태블릿PC가 스마트폰에서 진화했다면, 슬레이트PC는 노트북에서 한 단계 발전한 제품이라고 할 수 있죠.

홍혜정(이하 홍) 그래서 그런지 첫 인상이 태블릿PC인지 노트북인지 구분이 힘들 정도로 세련됐다는 느낌이네요. 본체 외관만 본다면 태블릿PC나 다름없으니까.

이두걸(이하 이) 윈도7을 OS로 탑재했으니까 집이나 사무실에서는 일반 PC에서 할 수 있는 모든 일을 할 수 있고, 밖에서는 본체만 들고 다니면서 태블릿처럼 쓸 수 있다는 게 장점으로 보여요.

터치 스크린 방식인 데다, 최근 갤럭시 노트의 인기로 다시 부활한 펜 입력 방식도 같이 채택했어요. 마우스, 키보드 등과 함께 다양한 방식으로 입력할 수 있죠. 태블릿에서 다양한 사무용 프로그램을 활용하고 싶어 하는 전문가들에게 유용한 제품이라고 봐요.

다만 본체와 무선 키보드를 연결하는 게 조금 번거롭네요. 기계와 친숙하지 않은 사용자라면 사용법을 익히는 데 시간이 필요해 보여요.

우리가 본 제품은 국내 출시 가격(179만원)도 너무 비싸 부담스럽네요. 100만원대 초반까지 값이 내려간다면 얼마나 좋을까.











>>태블릿 PC

가장 얇고 가벼워 요금제 가입 글쎄

다음은 태블릿PC인데요. 이 품목이야 애플의 ‘아이패드’ 덕분에 워낙 유명해져서 굳이 자세한 설명을 따로 하지 않아도 될 것 같아요.

앞서 본 슬레이트PC와 비교해 가격이 절반 수준이어서 가격적인 메리트가 커요. 태블릿 역시 도킹 키보드를 별도로 사서 연결하면 슬레이트PC처럼 쓸 수 있잖아요. 여기에 오늘 본 제품들 가운데 가장 얇고 가볍다는 점도 여성들의 바람을 충족시켜 주기에 충분해요.

전 다양한 부가 기능을 돕는 액세서리를 사서 활용성을 높일 수 있다는 점이 맘에 들어요. 가령 차 안에 거치대를 달아 내비게이션으로 쓰거나, 부엌에 거치대를 설치해 요리책처럼 쓸 수도 있으니까요.

아쉬움이 있다면, 태블릿이 윈도 기반이 아니다 보니 워드프로세서나 엑셀 같은 사무 관련 프로그램을 쓰기에 불편함이 있다는 거죠. 이통사를 통해 구매할 경우 3세대(3G) 혹은 4G 요금제에 가입해야 하는 것도 부담이고요.

현재 5인치대 스마트폰을 쓰거나 구입할 계획이 있는 분들이라면 굳이 태블릿을 또 살 필요는 없다는 게 제 생각이에요. 스마트폰과 기능이 겹치는 부분이 많다는 거죠.











>>울트라북

기본 기능 퍼펙트 디자인 투박 실망

자, 이제 마지막으로 울트라북을 볼게요. 울트라북은 PC 프로세서 업체인 인텔이 요구하는 ▲최대 절전 모드에서 시스템이 완전히 켜질 때까지 7초 이내 ▲13인치 모델은 두께 19㎜ ▲14인치 이상은 21㎜ ▲5시간 이상 사용 가능한 배터리 등의 까다로운 사양을 충족시키는 노트북을 말해요.

앞서 본 태블릿이나 슬레이트PC가 들고 다니기에는 더 편리하겠지만, 우리처럼 언제든지 무릎에 PC를 올려놓고 뭔가를 급하게 키보드로 입력해야 할 일이 많은 이들에게는 불편할 수도 있어요. 그런 의미에서 울트라북은 휴대용 PC의 전형적인 기능을 완벽하게 수행해 마음에 들어요.

‘구관이 명관’이라는 말이네요. 일반적인 노트북보다 얇으니까 가방에도 쏙 들어갈 것 같아요. 평소 짐이 많은 학생이나 직장인에게 안성맞춤이 아닐까 싶네요.

지난달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국제전자제품전시회(CES) 2012’에 가 보니까 수많은 울트라북들이 쏟아져 나왔어요. 지난해까지가 ‘태블릿의 해’였다면 올해부터는 ‘울트라북의 해’가 되겠죠.

다만 애플의 ‘맥북에어’나 삼성 ‘센스 시리즈9’ 같은 초슬림 프리미엄 노트북들도 나왔는데, 이들과 비교하면 다소 무겁고 투박하다는 느낌이 드는 게 사실이에요.









홍혜정·이두걸·류지영기자 superryu@seoul.co.kr

■해당 제품들에 대한 자세한 소개는 기자 블로그 (ryu.blog.seoul.co.kr)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2012-02-11 15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