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연기관차 누적등록대수 첫 감소…신규 3대 중 1대 친환경차

내연기관차 누적등록대수 첫 감소…신규 3대 중 1대 친환경차

옥성구 기자
옥성구 기자
입력 2024-01-19 09:34
업데이트 2024-01-19 09:3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인구 1.98명 중 1명 차량 보유
수입차 점유율 13%…증가세

이미지 확대
서울시와 협력업체 직원이 25일 오후 서울 송파구 잠실종합운동장 제1주차장에서 배출가스저감장치(DPF)를 장착한 노후 경유차량의 매연을 측정하고 있다. 서울신문DB
서울시와 협력업체 직원이 25일 오후 서울 송파구 잠실종합운동장 제1주차장에서 배출가스저감장치(DPF)를 장착한 노후 경유차량의 매연을 측정하고 있다. 서울신문DB
지난해 국내 등록된 내연기관차가 통계 집계 이래 전년보다 처음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새로 등록된 차량 3대 중 1대는 친환경차로 꾸준한 증가세를 보였다.

국토교통부는 지난해 말 기준 자동차 누적등록대수가 2549만 9000대로 전년보다 1.7%(44만 6000대) 증가했다고 19일 밝혔다. 자동차 누적등록대수는 매년 평균 50만대 증가하는 추세로 인구 1.98명당 1대의 자동차를 보유한 것으로 집계됐다.

화석연료를 사용하는 내연기관차의 누적등록대수는 지난해 말 2364만 7000대로 전년과 비교해 0.4%(8만 5000대) 줄었다. 내연기관차의 누적등록대수가 전년보다 감소한 건 이번이 처음이다. 휘발유 차량은 2.0%(24만 5000대) 늘었지만, 경유와 LPG 차량이 각각 2.6%(25만 8000대), 3.8%(7만 2000대) 줄어든 영향이다.

반면 친환경차 누적등록대수는 212만대로 전년보다 33.4%(53만대) 늘었다. 하이브리드 차량 31.7%(37만대), 전기 차량 39.5%(15만 4000대), 수소 차량 15.6%(4600대) 모두 고르게 증가했다.

수입차 점유율은 계속 늘고 있다. 지난해 말 기준 누적등록대수는 국산차 2256만 4000대, 수입차 338만 5000대다. 점유율은 국산차 87.0%, 수입차 13.0%다. 수입차 점유율은 2018년 9.3%, 2019년 10.2%, 2020년 11.0%, 2021년 11.8%, 2022년 12.5%로 해마다 높아지는 추세다.

지난해 한 해 신규등록차량은 175만 9000대다. 새롭게 등록된 차량 3.14대 중 1대는 하이브리드·전기·수소 차량인 것으로 조사됐다.

전기차 모델별로 신규등록 현황은 현대 포터Ⅱ 일렉트릭이 2만 5660대로 가장 많고, 기아 EV6 1만 7131대, 기아 아이오닉5 1만 6398대, 기아 봉고Ⅲ 1t EV 1만 5069대, 테슬라 모델Y 1만 3899대 순이다.
이미지 확대
서울 강남구 한 빌딩 주차장의 전기차 충전소. 2022.6.29. 서울신문DB
서울 강남구 한 빌딩 주차장의 전기차 충전소. 2022.6.29. 서울신문DB
옥성구 기자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