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발 잔혹사 “직장인 42%, 급여손실…예적금 해지·대출”

코로나발 잔혹사 “직장인 42%, 급여손실…예적금 해지·대출”

김태이 기자
입력 2020-05-06 09:23
업데이트 2020-05-06 09:2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구직자 10명 중 9명, 상반기 취업 못 할까 두려워”

이미지 확대
‘생활 속 거리두기’…새로운 일상의 시작
‘생활 속 거리두기’…새로운 일상의 시작 징검다리 황금연휴를 마친 6일 오전 서울 세종대로 사거리에서 시민들이 출근길 발걸음을 옮기고 있다. 정부는 이날부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사태로 인해 시행하던 사회적 거리두기를 생활 속 거리두기(생활방역체계)로 전환한다. 2020.5.6.
뉴스1
직장인 10명 중 4명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급여손실 사유가 발생했다는 설문조사가 나왔다.

6일 취업포털 인크루트가 직장인 576명을 대상으로 시행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41.8%는 코로나19 이후 급여변동 사유가 발생했다고 답했다.

사유는 무급휴가(16.3%)가 가장 많았으며 급여삭감 및 반납(12.5%), 권고사직(4.0%), 권고사직 후 복직 제안(3.8%), 강압적 해고(1.8%) 등의 순이었다.

무급휴가 해당자의 평균 무급휴가 기간은 28일로 집계됐으며 급여삭감 대상자의 평균 삭감 비율은 24.9%로 조사됐다.

급여감소분 충당 수단을 복수응답으로 조사한 결과 예·적금 해지(16.8%)가 가장 많았고 생활비 대출(13.3%), 아르바이트 등 부업(13.1%), 펀드·보험 상품 해지(7.8%) 등이 뒤를 이었다.

아울러 코로나19로 구직자들 10명 중 9명은 올해 상반기 취업에 성공하지 못할까 두려워한다는 설문도 나왔다.

구인구직 매칭플랫폼 사람인이 구직자 1천352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92.9%가 상반기 취업에 두려움을 느낀다고 답했다.

두려움을 느끼는 이유로 ‘채용을 연기한 곳이 많아서’(55.5%, 복수응답)를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 ‘채용 규모가 감소할 것 같아서’(48.6%), ‘기업들의 실적이 악화하고 있어서’(40.3%), ‘채용 진행 중 중단하는 곳이 있어서’(31.9%), ‘채용 자체가 취소될 것 같아서’(29.6%), ‘채용 계획 발표가 적어서’(29.2%) 등의 순이었다.

이밖에 응답자들의 올해 취업 자신감 점수는 평균 54점으로 낙제 수준인 것으로 조사됐다.

코로나19로 자신감이 예년과 비교해 떨어졌다는 구직자는 74%에 달했으며 구직자 17.7%는 올해 상반기 채용 지원을 포기할 생각이라고 답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