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용·직불카드 활성화와 각종 페이의 등장으로 현금 사용이 줄면서 지폐의 유통 수명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은 2018년 기준 은행권 유통 수명을 추정한 결과 1만원권은 121개월로 조사됐다고 13일 밝혔다. 또 1000원권은 52개월, 5000원권은 43개월로 파악됐다.
이러한 은행권 유통 수명은 2011년과 비교했을 때 1000원권은 14개월, 5000원권은 3개월 각각 증가했다. 비현금 지급 수단이 활성화되면서 현금 사용이 감소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2009년 6월 처음 발행된 5만원권은 현재로서는 정확한 추정이 어렵지만 1만원권보다는 수명이 길 것이라는 게 한은의 설명이다.
은행권 유통 수명은 신권 화폐가 한은 창구에서 발행된 후 시중에서 유통되다가 더이상 사용할 수 없을 정도로 손상돼 다시 한은 창구로 환수될 때까지 걸린 시간이다. 저액권일수록 빈번하게 거래되기 때문에 수명이 짧고, 고액권일수록 가치 저장 수단으로도 활용돼 수명이 긴 편이다. 한은 관계자는 “우리나라 화폐의 수명은 주요국에 비해 긴 편”이라며 “일본 5000엔은 18개월, 유로존 20유로는 19개월에 불과하다”고 설명했다.
장진복 기자 viviana49@seoul.co.kr
한국은행은 2018년 기준 은행권 유통 수명을 추정한 결과 1만원권은 121개월로 조사됐다고 13일 밝혔다. 또 1000원권은 52개월, 5000원권은 43개월로 파악됐다.
이러한 은행권 유통 수명은 2011년과 비교했을 때 1000원권은 14개월, 5000원권은 3개월 각각 증가했다. 비현금 지급 수단이 활성화되면서 현금 사용이 감소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2009년 6월 처음 발행된 5만원권은 현재로서는 정확한 추정이 어렵지만 1만원권보다는 수명이 길 것이라는 게 한은의 설명이다.
은행권 유통 수명은 신권 화폐가 한은 창구에서 발행된 후 시중에서 유통되다가 더이상 사용할 수 없을 정도로 손상돼 다시 한은 창구로 환수될 때까지 걸린 시간이다. 저액권일수록 빈번하게 거래되기 때문에 수명이 짧고, 고액권일수록 가치 저장 수단으로도 활용돼 수명이 긴 편이다. 한은 관계자는 “우리나라 화폐의 수명은 주요국에 비해 긴 편”이라며 “일본 5000엔은 18개월, 유로존 20유로는 19개월에 불과하다”고 설명했다.
장진복 기자 viviana49@seoul.co.kr
2019-01-14 20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