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기준 입맛 따라 바꾸기… 한은의 ‘포장 꼼수’

통계기준 입맛 따라 바꾸기… 한은의 ‘포장 꼼수’

입력 2016-07-31 22:42
업데이트 2016-07-31 23:4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비교기간 달라 위조지폐 줄이고 원화로 바꿔 국민총소득 늘리고

좋은 수치만 부각… 신뢰 하락

한국은행이 보도 자료에서 통계 기준을 갑자기 바꾸는 ‘이해하기 힘든’ 행태를 보여 논란에 휩싸였다.

통계치의 비교 기간을 과거와 다른 방식으로 설정하거나 금액을 표시할 때 기준 통화도 ‘입맛에 따라’ 다르게 하는 사례가 나온 것이다. 이는 그다지 좋지 못한 통계 수치를 좋게 보이게 하려는 의도로 해석되며, 중앙은행에 대한 신뢰를 크게 떨어뜨린다는 지적이 나온다.

31일 한은에 따르면 한은 보도 자료에서 통계 기준을 바꾼 사례는 지난 21일 발표한 ’2016년 상반기 중 위조 지폐 발견 현황‘이 대표적이다. 한은은 이 자료에서 올해 상반기 발견된 위조 지폐가 637장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2728장)보다 2091장(76.6%) 감소했다고 밝혔다. 하지만 올 상반기 발견된 위 조지폐는 지난해 하반기(565장)보다는 늘었다. 지난해 8월 5일 보도 자료에서는 상반기에 발견된 위조 지폐가 2715장으로 2014년 하반기(2602장)보다 113장(4.3%) 늘었다고 발표했다. 비교 기준이 지난해는 전기 대비였는데, 올해는 전년 같은 기간으로 바뀐 셈이다. 한은은 비교 기준을 바꾼 이유에 대해 명쾌한 설명을 내놓지 못했다.

지난 3월에는 국민총소득(GNI)을 발표하면서 의외의 기준을 적용했다. 3월 25일 국민계정 보도 자료의 표지에서 지난해 1인당 GNI를 3093만 5000원이라고 밝히고 괄호 안에 미국 달러화 기준 환산액이라고 넣었다. 1인당 GNI를 원화 기준으로 계산함으로써 2014년(2956만 5000원)보다 증가한 수치가 나온 것이다. 반면 달러화 기준으로는 지난해 2만 7340달러로 2014년(2만 8071달러)보다 감소했다.보도 자료는 한은 홈페이지에 게시되며 기자나 연구원, 학자는 물론이고 일반인들도 참고하는 중요한 자료다. 따라서 한은이 의도적으로 ‘마사지’를 통해 특정 통계를 부각하는 것은 중앙은행으로서 신뢰성을 스스로 훼손하는 행위라는 지적이 나온다.

연합뉴스
2016-08-01 14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