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파에 비닐하우스 ‘와르르’…농작물 동사

한파에 비닐하우스 ‘와르르’…농작물 동사

입력 2016-01-22 08:42
업데이트 2016-01-22 08:4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번 주 들어 갑자기 기온이 뚝 떨어지고 강풍이 불면서 곳곳에서 비닐하우스가 찢어져 시설 농작물이 얼어 죽었다.

22일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지난 18∼20일 경북·경남 지역에서 비닐하우스 5만6천㎡, 창고·축사 등 부대시설 1천㎡, 농작물 1만9천㎡가 한파로 피해를 본 것으로 집계됐다.

강풍에 비닐하우스가 찢어지거나 축사 지붕이 무너지는 등의 피해가 발생했다. 특히 비닐하우스가 파손되면서 그 안에서 자라던 농작물이 얼어붙었다.

경북 영덕과 포항 등지에서 배추, 시금치, 쪽파 등 시설 작물이 비닐하우스가 찢어지고 나서 추위를 견디지 못하고 ‘동사’했다.

얼어 죽은 농작물은 되살릴 수 없고, 전파(全破)된 비닐하우스는 철거하고 재설치를 해야 해 시설 복구에 다소 시간이 걸린다고 농식품부는 설명했다.

밖에서 자라는 노지작물인 마늘, 양파, 보리, 밀 등은 한파에 강해 영하 20∼30도에 이르는 추위에서도 살 수 있어 아직 집계된 피해는 없다.

다만 2∼3월이 되면 식물이 봄을 앞두고 생장하기 위해 물을 흡수하고 끌어올리는데 도중에 기습 한파가 닥치면 물관이 터져 피해를 볼 수 있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포근하게 지내다가 갑자기 추워져 유난히 춥게 느껴지지만 전반적으로 올해 겨울이 추운 겨울은 아니어서 평년과 비교해 농작물 피해가 큰 편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한파에 대비해 복숭아나 포도 등 추위에 약한 작물은 나무 밑동을 보온자재로 감싸고, 시설 하우스에 보조 지지대를 설치하고 눈이 잘 미끄러지도록 비닐을 팽팽히 당겨 관리해야 한다고 농식품부는 당부했다.

거봉 포도는 영하 13∼20도 사이, 복숭아는 영하 15∼20도 사이 기온에 6시간 이상 노출되면 얼어 죽는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