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력 떨어지고 찌그러져 보이면…황반변성 의심

시력 떨어지고 찌그러져 보이면…황반변성 의심

입력 2014-11-02 00:00
업데이트 2014-11-02 12:0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환자 4년새 37% 늘어…절반이 70대이상

시각세포가 모여있는 ‘황반’에 문제가 생겨 시력이 떨어지거나 사물이 찌그러져 보이는 황반변성 환자가 최근 크게 늘고 있다.

2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진료통계에 따르면 황반변성(질병코드 H35.3) 환자는 2009년 11만2천명에서 2013년 15만3천명으로 4년동안 약 37% 늘었다. 이 기간 진료비도 225억원에서 두 배 이상인 557억원으로 불었다.

지난해 기준 여성 환자(58.1%)가 남성(41.9%)보다 많았고, 연령별로는 70세이상(50.6%)·60대(28.2%)·50대(14.6%) 등의 순이었다.

황반은 안구의 안쪽에서 ‘카메라 필름’ 역할을 맡는 망막 중에서도 시각세포가 집중된 중심부 신경조직을 말한다. 물체의 상이 맺히는 부분이기 때문에, 이 황반부에 변성이 일어나면 사물을 뚜렷하게 볼 수 없거나 사물이 찌그러져 보인다(변시증).

황반변성은 신생혈관 생성 여부 등에 따라 건성(비삼출성)과 습성(삼출성)으로 나뉘는데, 습성의 시력 장애가 더 심하고, 방치하면 실명에 이를 수도 있다.

황반변성의 가장 큰 원인은 ‘노화’로, 대부분 나이가 들면서 특별한 원인없이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이 밖에 가족력·인종·흡연 등과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김하경 심사평가원 진료심사평가위원은 “황반변성 여부를 모눈종이 등을 통해 자가진단할 수도 있지만, 정확도가 떨어지는만큼 안과에서 정밀검사를 통해 확인하는 것이 좋다”며 “황반변성을 예방하려면 정기적 망막검사, 금연, 선글라스 착용, 건강한 식습관 등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