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당수익률 1%P 올리면 외국인 앉아서 2조6000억”

“배당수익률 1%P 올리면 외국인 앉아서 2조6000억”

입력 2014-08-01 00:00
업데이트 2014-08-01 03:1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최노믹스 배당 확대 논란

최경환 경제팀이 추진하는 ‘배당 확대’가 주가를 띄울 수는 있지만 궁극적으로 가계 소득을 늘리고 내수를 살리겠다는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지에 대해 논란이 뜨겁다. 목표했던 것과 달리 외국인 주주의 배만 더 불리고 기업의 장기적 투자를 꺼리게 할 수 있다는 지적이 끊이지 않는다.


우리투자증권이 31일 시가총액 20대 기업의 지난해 평균 배당수익률(1.35%)을 1% 포인트 올려 ‘예상 배당금’을 조사한 결과 외국인 주주(평균 지분 43.98%)는 총 5조 7480억원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이 기업들의 외국인 주주가 받은 배당금은 모두 3조 1658억원이었다. 배당수익률이 앞으로 1% 포인트 올라 2.35%가 된다면 시총 20대 기업의 외국인 주주는 앉아서 2조 5822억원을 추가로 챙기는 셈이다. 이를 시총 200대 기업으로 확대하면 외국인 주주는 3조 4300억원을 더 받을 수 있다. 국내 전체 상장사로 넓히면 추가로 4조 2000억원을 더 챙긴다.

물론 국내 법인과 기관, 개인들도 배당수익률이 1% 포인트 올라가면 더 많은 배당금을 받을 수 있다. ‘배당 환상’에 빠지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배당을 확대하면 국내 주주의 배당금은 내수경기 회복의 ‘불쏘시개’가 될 것으로 해석된다.

그러나 문제는 배당 확대가 가계 소득 증가로 쉽게 이어지지 않는 데 있다. 전체 상장사의 주식 소유 구조를 보면 외국인이 32.9%, 법인 24.1%, 기관 16.1%, 개인이 23.6%를 갖고 있다. 기본적으로 국내 법인과 기관은 가계 소득 증가와 무관한 데다 개인(23.6%)에는 기업 오너가(家)의 지분이 포함돼 있다. 또 배당 확대의 여력이 있는 곳도 외국인 지분율이 높은 시총 상위 기업들이다. 장하준 영국 케임브리지대 교수는 “(순수)개인투자자들이 10%밖에 안 돼 배당을 확대해도 (정부의 정책 취지와 달리) 외국인과 기관투자가에게 돈이 흘러갈 것”이라고 밝혔다.

김경두 기자 golders@seoul.co.kr

이유미 기자 yium@seoul.co.kr

[용어클릭]

■배당수익률 1주당 배당금을 현재 주가로 나눈 값이다. 삼성전자가 배당금으로 1주에 1만 5000원을 주고 주가가 150만원이라면 배당수익률은 1.00%다. 전문가들은 우리나라 상장사의 배당수익률(1.18%)이 낮아서 1% 포인트를 올려도 미국(2.27%)과 독일(2.93%), 타이완(2.80%) 등에 못 미친다고 지적한다.
2014-08-01 1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