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그룹 M&A보다 신규설립 통해 몸집불려

대기업그룹 M&A보다 신규설립 통해 몸집불려

입력 2014-07-09 00:00
업데이트 2014-07-09 07:3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0년새 늘어난 계열사중 신설 60%, M&A 40%

(서울=연합뉴스) 정주호 기자 = 최근 10년 새 대기업그룹이 몸집을 2배로 불리는데 인수합병(M&A)보다 신설(분할 포함)이 더 크게 기여한 것으로 조사됐다.

9일 CEO스코어에 따르면 작년말을 기준으로 2004년 이후 30대 그룹의 계열사 편입 실태를 조사한 결과 10년간 신규 편입된 계열사 860개 중 519개(60.3%)는 신설 또는 분할로, 341개는 M&A를 통해 이뤄진 것으로 나타났다.

M&A로 편입된 기업 수가 신설·분할보다 178개가 적다.

이처럼 M&A보다 신설법인 비중이 크게 높은 것은 대주주 일가 경영의 특성상 인수 직후 계열사로 편입되는 M&A보다 대주주 지분 취득 등이 용이한 기업신설을 그룹들이 선호하는데다, 신설된 기업의 생존율도 높기 때문으로 풀이되고 있다.

특히 M&A 활동의 위축은 그만큼 기업들의 활력이 떨어지고 있다는 방증이다. 또 미래 성장을 위한 투자보다도 현금보유 등 수세적 경영에 중심을 두고 있다는 뜻으로도 해석 가능하다.

30대 그룹 편입 계열사 중 신설기업 비중이 가장 높은 곳은 한진과 OCI였다. 두 그룹 계열사 중 10년 새 편입된 계열사는 각각 32개와 16개였고 이중 각각 28개와 14개가 신설기업이어서 비중이 87.5%에 달했다.

한진은 물류, 운송, 레저, OCI는 발전 등 대체로 그룹의 영위 업종과 연관성 있는 계열사가 늘었다.

금융투자사를 대폭 늘린 미래에셋(21개·80%)에 이어 현대와 대림(각 11개· 78.6%), 두산(13개·76.5%), 부영(6개·75%), 코오롱(17개·73.9%), 삼성(22개·73.3%), 한화(19개·73.1%) 순으로 편입 계열사의 신설기업 비중이 높았다.

30대 그룹 중 21개 그룹이 신설기업 수가 M&A보다 많았다.

반대로 M&A 비중이 높은 곳은 물류, 방송, 게임 업종 등에서 기업을 대거 인수한 CJ로 M&A 기업수가 37개(63.8%)에 달했다. 현대백화점(14개·60.9%), 신세계(12개·60%) 등의 유통 그룹도 M&A 비중이 60%를 넘었다.

1천억원 미만의 중소형 기업 인수에서 강세를 보인 LS(30개·58.8%)와 현대차(20개·58.8%)가 그다음이었고 롯데(27개·56.3%), 효성(16개·55.2%), 동국제강(5개·50%)도 편입 계열사의 절반 이상이 M&A로 이뤄졌다.

박주근 CEO스코어 대표는 “30대 그룹 계열사 중 최근 10년 새 신설 기업이 M&A로 늘린 기업보다 상대적으로 많은 것은 2세, 3세로의 자산승계나 지배구조를 공고히 하는 데에 M&A보다는 기업분할 등이 더 용이하기 때문으로 분석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