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어닝쇼크] 스마트폰 대안 ‘노터블’로 반전 나선다

[삼성전자 어닝쇼크] 스마트폰 대안 ‘노터블’로 반전 나선다

입력 2014-07-09 00:00
업데이트 2014-07-09 02:4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삼성전자의 대응은

부진한 성적표를 받아 든 삼성전자는 올 하반기 ‘노터블’(NOTABLE)로 반전을 노린다. 노터블은 노트(Note), 태블릿(Tablet), 웨어러블(wearable)의 합성어다.

삼성전자는 오는 9월 출시 예정인 패블릿폰 ‘갤럭시노트4’를 앞세워 8~10인치대 프리미엄 태블릿 ‘갤럭시탭S’, 웨어러블 스마트 워치 ‘기어 라이브’로 실적 부진을 타개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8일 “지난 2분기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은 전 세계적인 시장 성장률 둔화 속에 업체 간 경쟁이 심화되면서 삼성전자, 애플, HTC 등 모든 스마트폰 업체들이 많은 어려움을 겪었다”면서 “스마트폰 시장의 침체기를 벗어날 수 있는 대안은 태블릿과 웨어러블 시장에 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우선 갤럭시노트4는 부진했던 갤럭시S5의 프리미엄 스마트폰 수요는 물론 소형 태블릿 시장의 수요까지 동시에 공략할 수 있을 ‘무기’로 평가된다. 스마트폰 시장 성장세가 둔화한 가운데 삼성의 강점인 대형 화면과 특화 기능을 바탕으로 한 패블릿 시장이 새롭게 부각되고 있는 점에 주목했다.

태블릿 시장에서는 10인치대 상품을 주력군으로 가져갈 전망이다. 삼성전자가 2분기 실적과 관련해 “패블릿에 설 자리를 잃어버린 7인치대 태블릿의 부진”을 언급한 것도 이런 맥락에서다. 이달 중 출시되는 갤럭시탭S는 10.5형, 8.4형 두 가지 크기로 제작됐다. 삼성전자는 2010년 태블릿 시장에 본격 진입한 이후 매년 2배 이상의 성장률을 기록하며 경쟁사들과 격차를 벌려 왔다.

안드로이드 운영체제(OS)를 탑재한 스마트 워치 기어 라이브도 하반기 실적 개선을 이끌 것으로 보고 있다. 삼성전자는 뚜렷한 선도 제품이 없는 웨어러블 기기 시장에서 기어2, 기어2 네오, 기어핏 등 다양한 기기로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업계 한 관계자는 “다양하고 차별화된 제품을 기획, 개발, 제조, 판매할 수 있는 역량을 바탕으로 삼성전자가 새롭게 떠오르는 웨어러블 시장에서도 주도권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박강호 대신증권 연구위원은 “경쟁사와 비교했을 때 삼성의 강점은 수직계열화를 바탕으로 다양한 라인업을 구축할 수 있는 힘에 있다”면서 “하드웨어 기술 강점을 잘 활용한다면 얼마든지 실적 부진을 만회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박 연구위원은 “다만 사물인터넷 시대를 대비해 운영체제 역량을 키우는 일이 시급하다”고 조언했다.

명희진 기자 mhj46@seoul.co.kr
2014-07-09 5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