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2 월드컵…재송신료 분쟁에 중계방송 못보나

D-2 월드컵…재송신료 분쟁에 중계방송 못보나

입력 2014-06-11 00:00
업데이트 2014-06-11 17:2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지상파-유료방송사 협상 진전 없어…정부 “파국땐 적극 개입”

브라질 월드컵 개막이 이틀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지상파 방송사와 유료방송업계의 월드컵 재전송료 협상이 진전을 보지 못해 사상 초유의 월드컵 중계방송 중단 사태가 벌어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지상파와 유료방송사업자는 지난 2011∼2012년 재전송료 갈등 끝에 실제로 총 4번에 걸쳐 방송 중단을 했다가 방송통신위원회의 권고나 자체 협상으로 방송을 재개한 바 있다.

11일 방송업계에 따르면 KBS, MBC, SBS 등 지상파 3사와 케이블TV방송사(SO), IPTV, 위성방송(KT스카이라이프) 등 유료방송사들은 월드컵 재전송료를 놓고 물밑 협상을 진행 중이지만 주장이 첨예하게 엇갈려 좀처럼 합의에 이르지 못하고 있다.

지상파는 유료방송사와 맺은 재송신 계약에 따라 브라질 월드컵 재전송료를 추가로 받을 수 있다고 주장한다. 2010년 남아공 월드컵과 2012년 런던올림픽 때도 IPTV 3사로부터 별도의 재전송료를 받은 전례가 있기 때문에 이번 브라질 월드컵에서도 유료방송사들이 일정 금액을 부담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케이블TV방송사들은 이 조항이 지상파의 의무를 규정하는 내용일 뿐 재전송료와는 상관없으며, 월드컵에 대한 추가 비용 부담은 재전송료의 이중지급이라며 팽팽히 맞서고 있다.

지상파 방송사들의 모임인 한국방송협회는 10일 성명을 내고 “월드컵 중계권료 협상에 관한 케이블사업자의 대응은 시청자를 볼모로 한 처사”라며 “일방적인 억지 주장을 멈추고 계약에 입각한 협상에 성실히 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지상파 관계자는 “특히 케이블TV방송사들이 강경한 태도를 보이며 협상 테이블에 나오지 않는다”며 “협상에 성실히 임한다면 블랙아웃(방송 중단) 사태는 오지 않을 것이라고 본다”고 말했다.

이에 한국케이블TV방송협회도 11일 성명을 내고 거세게 반발했다.

케이블TV협회는 “오히려 지상파 방송사가 보편적 시청권이 보장돼야 할 월드컵 중계방송을 무기로 이윤을 추구하고 있다”며 “지상파가 시장예측을 제대로 못하고 월드컵 중계권을 비싸게 사왔으면서도 말도 안되는 논리로 유료방송업계에 그 책임을 전가하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협회는 이어 “케이블업계는 월드컵 중계방송 재송신을 중단할 이유가 전혀 없다”며 “어떠한 경우에라도 중단되지 않도록 현행 방송법의 의무재송신 제도를 개선해 달라고 지속 건의하고 있다. 정부와 국회는 국민들이 추가 부담 없이 지상파 방송을 시청할 수 있게 하루빨리 합리적 방향으로 재송신 제도를 개선해 주길 바란다”고 촉구했다.

케이블업계 관계자는 “이미 가입자당 280원의 재전송료를 주고 있는데 큰 스포츠 행사가 있을 때마다 추가로 돈을 지급하라는 건 부당하다”면서 “정부와 국회는 지상파 방송을 안정적으로 시청할 수 있도록 합리적으로 재송신 제도를 개선해야 한다”고 말했다.

미래창조과학부와 방송통신위원회는 업계 간 협상이 진행 중인 만큼 일단 관망하되 파국 때에는 적극적으로 개입한다는 입장이다.

미래부 관계자는 “사적 영역이라 직접적으로 개입할 수 없지만 월드컵이 워낙 국민적인 관심이 많은 국제적인 이벤트라는 점을 고려해 적극적으로 협상에 임하라고 독려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방통위 관계자도 “남아공 월드컵 때는 협상 자체가 이뤄지지 않아 우리가 적극적으로 협상하라며 시정조치도 했지만 지금은 협상이 진행 중이라 뭐라 얘기하기 어려운 상황”이라며 “만약 협상이 파국으로 치닫는다면 적극적으로 개입해 협상을 끌고 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