값싼 중국산 공습에 한국 철강업계 ‘휘청’

값싼 중국산 공습에 한국 철강업계 ‘휘청’

입력 2014-06-11 00:00
업데이트 2014-06-11 02:1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H형강 t당 가격 18만원 차이

국내산보다 훨씬 가격이 낮고 대량으로 공급되는 중국산 철강 공습에 국내 철강업계가 맥을 못 추고 있다. 가격 경쟁에서 밀리는 데다 주요 수요처인 건설업계 등의 상황이 좋지 않아 국내 철강업계의 어려움이 더욱 가중되고 있다.

10일 철강업계에 따르면 6일 현재 소형 기준 t당 H형강 유통 가격은 국내산은 77만원, 중국산은 59만원으로 국내산이 18만원 비싸다. H형강은 건축, 토목에 많이 쓰이는 형강으로 단면 모양이 ‘H’라 H형강으로 불린다.

문제는 국내산과 중국산 가격 차이가 점점 벌어지고 있다는 점이다. 지난해 6월 국내산 H형강의 가격은 80만~81만원, 중국산은 67만~68만원으로 13만~14만원 정도의 차이를 보였다. 이후 국내산과 중국산의 가격 차이는 좁혀지지 않았다. 국내산 가격은 지난 4월 중순부터 80만원을 유지하다 점점 가격을 낮춰 77만원까지 떨어뜨렸지만 중국산 역시 62만원에서 59만원으로 낮춰 가격 차이가 큰 채로 유지되고 있다.

저가 공세로 중국산 수입량도 늘어나고 있다. 올 초부터 지난 4월까지 국내에서 수입한 중국산 H형강은 모두 29만 7443t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7.8% 늘어났다.

현대제철과 동국제강이 최근 산업통상자원부 산하 무역위원회에 중국산 H형강 제품에 대해 반덤핑 제소장을 제출한 것도 중국의 저가 공세를 더이상 견디지 못했기 때문이다. 철강업계 관계자는 “중국산 품질이 좋지 않지만 워낙 낮은 가격으로 공급하다 보니 울며 겨자 먹기 식으로 가격을 내릴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H형강을 포함해 전체 중국의 철강 수출이 늘어나고 있다. KB투자증권에 따르면 지난달 중국의 철강 순수출량은 685만t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64.6% 상승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중국 철강의 순수출량은 올 초부터 크게 확대되면서 올 초부터 지난달까지 누적 기준으로도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42.1%나 증가했다.

김현태 KB투자증권 연구원은 “중국의 철강 수출 증가는 중국 수요 부진에 의한 밀어내기 수출”이라면서 “중국의 철강 과잉 생산이 계속되는 데다 수요의 55%를 차지하는 국내 건설 시황도 부진해 국내 철강 업계가 이중고를 겪고 있다”고 말했다.

김진아 기자 jin@seoul.co.kr
2014-06-11 17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