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마트, 글로벌 점포 151곳

롯데마트, 글로벌 점포 151곳

입력 2014-06-11 00:00
업데이트 2014-06-11 02:1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국내는 포화상태… 해외영토 확장 가속

롯데마트가 12일 인도네시아 서부 자바의 탕그랑 지역에 ‘찌모네점’을 연다. 올 들어 국내 신규 출점이 단 한 곳도 없는 상황에서 인도네시아 37호점, 국내외 259호점을 기록했다.

가뜩이나 포화 상태에 이른 내수시장은 대형마트 영업규제의 여파로 더욱 차갑게 얼어붙었다. 올 1~5월 롯데마트의 국내 매출은 전년 같은 기간 대비 3% 가까이 역신장을 보이고 있다. 반면 중국을 제외한 베트남, 인도네시아에서는 9~20%대 신장률을 보이며 승승장구 중이다. 롯데마트가 해외사업에 ‘올인’하는 이유다. 현재 롯데마트가 해외에서 운영하는 점포는 중국 107곳, 인도네시아 37곳, 베트남 7곳 등 총 151곳이다. 국내 점포 수(108곳)를 넘어선 지 오래다.

특히 인도네시아는 롯데마트에 ‘기회의 땅’이다. 2008년 10월 네덜란드계 유통체인 마크로(19개 점포)를 인수하며 국내 유통업계 최초로 현지에 깃발을 꽂은 이래 무섭게 몸집을 불리고 있다. 올해도 4~5개의 추가 출점이 예정돼 있다. 2012년부터 23% 이상 성장하며 매출 규모가 처음 1조원을 넘어서 내부에서도 “(해외사업이) 인도네시아만 같아라”는 말이 돌 정도다.

인구 2억 4000만명 규모의 인도네시아에서 대형마트는 2002년부터 연평균 30%가량 신장하는 추세다. 까르푸 등 다국적 유통체인이 진출해 있으나 중국에 비해 경쟁이 덜 치열하고 대형마트 점유율이 전체 소매시장보다 낮은 수준이어서 성장 가능성이 높은 것이 특징이다. 이에 따라 롯데마트는 해외 사업의 무게중심을 인도네시아와 베트남으로 옮기고 중국 시장에 대해 숨고르기에 들어갔다. 롯데마트는 중국에서 역신장(연평균 10%)하며 고전 중이다. 롯데마트 관계자는 “중국 경제 침체와 업체 간 경쟁 치열로 우리뿐 아니라 해외 업체들도 모두 고전하고 있다”면서 “중국에선 신규 출점을 자제하는 대신 기존 점포의 내실을 다지는 전략을 쓰고 있다”고 말했다.

박상숙 기자 alex@seoul.co.kr

2014-06-11 17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