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4년 한국 등 아시아서 200만명 흡연관련 사망”

“2004년 한국 등 아시아서 200만명 흡연관련 사망”

입력 2014-06-02 00:00
업데이트 2014-06-02 13:1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서울의대 예방의학교실 연구팀 추정

2004년 기준으로 한국 등 아시아에서 약 200만명이 흡연과 관련된 질병으로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2일 서울대병원에 따르면 서울의대 예방의학교실 유근영·강대희·박수경 교수 연구팀은 한국·중국·일본·싱가포르·대만·인도·방글라데시 등 아시아 7개국 21개 코호트 연구에서 선정된 45세 이상 성인 105만명을 10년 이상 장기간 추적 관찰한 결과를 학술지인 ‘PLoS Med’(11권 4호)에 발표했다.

분석 결과, 아시아인의 남성 흡연율은 65.1%, 여성 흡연율은 7.1%로 나타났다. 흡연자는 비흡연자보다 남성은 1.44배, 여성은 1.48배 사망률이 높았다. 추적기간에 총 12만3천975명이 사망했으며, 흡연과 관련된 질병으로 사망한 비율은 남성은 15.8%, 여성은 3.3%에 달했다.

흡연과 가장 관련이 높은 질환은 폐암으로 흡연자는 비흡연자보다 폐암 발생률이 3~4배 높았다. 남성 폐암 환자의 60.5%, 여성 폐암 환자의 16.7%가 흡연과 관련 있었다.

성별로는 특히 남성은 심혈관질환 사망자의 11.4%, 암 사망자의 30.5%, 호흡기계 질환 사망자의 19.8%가 흡연과 관련이 있었다.

연구팀은 이를 바탕으로 아시아 7개국에서 흡연과 관련된 질병으로 사망한 사람이 2004년 기준으로 157만명에 이를 것으로 추정했다.

나아가 아시아 7개국 인구가 아시아 전체 인구의 71%에 해당한다는 점을 근거로 전체 아시아인 중 약 200만명이 흡연과 관련된 질병으로 사망한 것으로 연구팀은 계산했다.

유근영 교수는 “흡연은 아시아인의 사망위험을 높이는 매우 중요한 위험요인”이라며 “조직적인 금연대책을 펼치지 않으면 앞으로 수십 년 동안 흡연과 관련된 질병은 계속 문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코호트 연구는 특정요인(흡연 등)에 노출된 특정 인구집단(코호트)의 시간 경과에 따른 특정 질병의 발생을 전향적으로 추적, 관찰해 특정요인에 노출되지 않은 인구집단과 비교하는 역학적 연구방법이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