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인스크램블러, ‘인정비급여’ 보건복지부 고시

페인스크램블러, ‘인정비급여’ 보건복지부 고시

입력 2014-06-02 00:00
업데이트 2014-06-02 17:0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보건복지부가 최근 페인스크램블러 장비를 활용한 ‘비침습적 무통증 신호요법 통증 치료행위’를 ‘인정비급여’ 항목으로 확정 고시했다.

2일 제조사인 ㈜지오엠씨(대표이사 임영현)에 따르면 페인스크램블러는 △신경성통증을 포함하는 만성통증 △난치성 통증 △암성 통증 등의 치료장비로써 일반적 약물요법 또는 수술치료 등이 바람직하지 않거나 기존의 제반 통증치료에 반응이 없는 환자들에게 적용되는 신의료장비다.

치료원리는 통증 발생 부위에 전극을 부착해 페인스크램블러에서 생성된 무통증 신호를 기존 통증 부위로 보내는 방식이다. 왜곡된 통증 신호를 부작용 없이 정상적인 감각신호로 전환시켜 통증을 제어하는 새로운 개념을 적용했다.

지오엠씨는 페인스크램블러를 직접 제조·판매 하고 있다. 회사 측은 2009년 미국 식품의약국(FDA), 2011년 국내 식품의약품안전청(KFDA·현 식품의약품안전처), 지난해 2월 28일에는 보건복지부로부터 신의료기술 승인을 획득했다고 설명했다.

임영현 지오엠씨 대표이사는 “미국, 유럽에서 먼저 상용화 된 페인스크램블러가 작년을 기점으로 국내 신경외과, 정형외과, 암전문병원, 종합병원 통증센터에 빠르게 보급 되고 있다”면서 “이런 시점에서 내려진 페인스크램블러 치료법의 인정비급여 확정 고시는 국내 통증환자들이 보다 나은 삶을 영위하는데 크게 기여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페인스크램블러 테라피는 최근 김포공항 우리들병원을 방문한 미국 MD엔더슨 암센터의 통증 권위자 아브디 박사가 다양한 임상경험을 공유한 것으로 알려져 많은 관심을 모았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