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좌초하는 한국경제 돌파구 없나(하)] 환율전쟁에 곤혹스러운 기업

[좌초하는 한국경제 돌파구 없나(하)] 환율전쟁에 곤혹스러운 기업

입력 2014-06-02 00:00
업데이트 2014-06-02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환율 하락에 가만히 앉아서 마진 10% 손해

지난달 30일 원·달러 환율이 한때 1020원대가 붕괴되면서 5년 9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원·엔 환율도 100원당 1000원선을 가까스로 지켜내고 있는 상태다. 환율의 급격한 쏠림은 수출기업의 경쟁력을 약화시킨다. 내수에 이어 수출까지 힘들어질 수 있다는 의미다. 식혜를 생산해 미국과 타이완 등에 수출하는 문완기(49) 세준푸드 사장은 “연간 50억 달러(약 5조원) 정도를 수출하는데 환율 하락으로 인해 마진이 10%가량 떨어졌다”면서 “가격을 갑자기 올릴 수도 없으니 앉아서 연간 5000만원의 손해를 보고 있다”고 1일 말했다.

한국은행의 제조업 5월 업황 기업경기실사지수(BSI)는 79(100 이상이 업황 호전 의미)로 올해 들어 처음으로 하락했다. 대기업, 중소기업, 내수기업, 수출기업 할 것 없이 모두 체감경기가 나빠졌다. 사실 지난해 경상수지는 79억 9000만 달러에 달했다. 하지만 한국개발연구원(KDI)은 올해 78억 1000만 달러로 줄어든 후 내년에는 65억 5000만 달러로 더 감소할 것으로 예상했다. 수출은 점차 늘어나지만 환율 하락으로 수입도 증가할 것으로 보기 때문이다.

현대경제연구원은 올해 원·엔 환율이 1000원선까지 떨어지면 국내 총수출은 지난해보다 약 7.5% 감소할 것으로 예측했다. 특히 석유화학 업종과 철강 업종의 수출은 각각 10.8%, 10.5% 하락할 것으로 봤다. 우리나라의 가장 큰 수출국인 중국의 경기 둔화도 문제다. 지난달 중국 수출 증가율은 2.4%에 그쳤다.

세종 이경주 기자 kdlrudwn@seoul.co.kr

2014-06-02 8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