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께 성장하는 기업] 성공의 시작은 ‘책임’ 성공의 완성은 ‘나눔’

[함께 성장하는 기업] 성공의 시작은 ‘책임’ 성공의 완성은 ‘나눔’

입력 2014-05-30 00:00
업데이트 2014-05-30 02:2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젠 돈만 잘 번다고 해서 좋은 기업이 될 수 없다. ‘나눔 경영’은 거스를 수 없는 대세다. 회사 이미지 제고 차원의 문제가 아니다. 벌기만 하고 나누지 않으면 머지않아 생존을 걱정하게 될 수도 있다. 전 재산의 85%인 370억 달러를 자선사업에 기부한 ‘오마하의 현인’ 워런 버핏은 성공의 완성을 나눔으로 정의했다.우리 기업들도 저마다 주제를 가지고 나눔을 펼쳐왔다.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역할이 경영활동의 기본으로 자리매김한 지 오래다. 거액을 기부하거나 김치를 담그고, 연탄을 나르는 1차원적인 봉사에서 최근에는 기업의 특성과 경쟁력, 임직원들의 역량을 적극 활용한 재능기부로 진화했다.





지난해 말 전국경제인연합회가 발표한 자료를 들여다보면 기업이 벌인 봉사 유형은 업(業) 연계형 사회공헌프로그램이 84%로 가장 많았다. 세부적으로는 기술·지식 기부 등 임직원 프로보노(전문기술을 사회공헌에 쓰는 활동)가 74%를 차지했다. 구색 갖추기식 일회성 봉사가 아닌 중장기적인 나눔의 문화가 활성화된다는 사실은 반가운 일이다. 이러한 흐름에서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이 기업의 경쟁력 제고와 직결된다는 공유가치창출(CSV)이라는 개념도 뿌리내리고 있다. 따뜻한 나눔경영을 실천해 온 우리 기업들의 면면을 살펴봤다.

2014-05-30 18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