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등 전셋값 마련에… 장기 저축성 예금 첫 감소

폭등 전셋값 마련에… 장기 저축성 예금 첫 감소

입력 2014-03-18 00:00
업데이트 2014-03-18 01:3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작년 한 해 2조 4000억 줄어

지난해 가계가 장기 저축성 예금에서 사상 처음 돈을 뺐다. 전셋값 폭등세 및 시중자금 단기 부동화<서울신문 3월 17일자 14면>와 무관치 않아 보인다. 영세 자영업자를 포함한 가계빚은 1200조원을 넘어섰다. 기업은 만성적인 자금 부족 규모가 줄고 가계는 여윳돈이 다소 늘었지만 이는 투자를 덜 하고 소비를 안 한 요인이 짙어 반길 일만은 아니다.


한국은행이 17일 내놓은 ‘2013년 자금순환’ 자료의 주요 내용이다. 가계(소비자단체 등 가계와 연관된 비영리단체 포함)가 지난 한 해 동안 만기 1년 이상의 장기 저축성 예금에 넣은 돈은 마이너스 2조 4000억원이었다. 마이너스라는 의미는 그만큼의 돈을 인출했다는 의미다. 관련 통계를 내기 시작한 2003년 이후 처음 있는 일이다. 그렇다고 주식이나 채권으로 옮겨간 것도 아니다. 유가증권 운용도 지난해에 이어 마이너스(8조 5000억원)다.

한은 관계자는 “지난해 전셋값이 크게 오르면서 세입자들이 장기 저축을 많이 깨 인상분을 메운 것으로 보인다”면서 “이 돈을 받아든 집주인들은 조금이라도 수익이 더 나는 곳으로 옮겨가기 쉽게 단기 예금에 주로 돈을 넣은 것 같다”고 분석했다.

가계의 자산운용 가운데 요구불예금 등 단기 저축성 예금은 2012년 15조 5000억원에서 지난해 50조 5000억원으로 급증했다. 최문박 LG경제연구원 선임연구원은 “저금리가 길어지고 대내외 불확실성 등이 커지면서 돈을 오래 묶어 두려 하지 않는 경향이 생겼다”면서 “앞으로 금리가 오를 것이라는 기대심리가 더 강해질 것으로 보이는 만큼 시중자금의 단기 부동화 추세는 당분간 이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보험 및 연금을 통한 운용 규모(83조 5000억원)가 높은 수준을 이어간 것도 눈에 띈다. 전체 금융자산에서 보험 및 연금이 차지하는 비중은 2012년 5.8%에서 2013년 6.2%로 6%를 넘어섰다. 베이비붐(1955~1963년생) 세대를 중심으로 노후 대비를 하려는 경향이 강해진 것으로 풀이된다.

소규모 개인사업자를 포함한 가계의 금융 부채는 지난해 말 1223조 1000억원으로 전년 말(1157조 2000억원)보다 약 66조원 늘었다. 앞서 나온 가계빚 통계 1021조에는 자영업자 빚은 포함돼 있지 않다. 영세 자영업자는 대부분 가족 경영 형태여서 우리나라의 실질적인 가계빚은 1200조원이 넘는다고 봐야 한다.

가계의 여윳돈(운용자금에서 조달자금을 뺀 잉여자금)은 지난해 87조원으로 전년보다 3조 6000억원 늘었다. 숫자만 놓고 보면 사상 최대치다. 한은 측은 “소비를 예년과 비슷하게 하면서 여윳돈이 늘었으면 긍정적이지만 소득이 받쳐주지 못하면서 소비를 줄인 측면이 강한 데다 경제규모와도 비교해야 해 박수칠 일은 못된다”고 지적했다.

기업의 자금부족 규모는 2012년 59조 8000억원에서 지난해 39조 7000억원으로 축소됐다. 이 또한 기업들이 투자에 돈을 덜 썼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안미현 기자 hyun@seoul.co.kr
2014-03-18 14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