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옷 벗자마자 다이어트용품 “봄날 맞았네”

겨울옷 벗자마자 다이어트용품 “봄날 맞았네”

입력 2014-03-16 00:00
업데이트 2014-03-16 11:3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날씨가 차츰 풀리고 옷차림이 가벼워지면서 다이어트용품이 특수를 맞고 있다.


오픈마켓 G마켓은 7∼13일 다이어트용품과 식품 매출이 직전 주보다 20%가량 증가했다고 16일 밝혔다.

다이어트용품 중에서는 집에서 혼자 가볍게 운동하면서 체중을 조절할 수 있는 훌라후프가 26% 증가했고, 줄넘기와 트램펄린이 각각 20%, 10% 증가했다.

체중 조절 시 식사 대용으로 많이 선택하는 선식이나 미숫가루 판매도 11% 늘었다.

옥션에서도 다이어트 식품과 헬스용품 판매가 늘었다.

품목별로 살펴보면 식품의 경우 체중 조절 시리얼은 전주보다 86%, 곤약은 55% 많이 팔렸다.

특히 디톡스 효과 때문에 다이어트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알려진 레몬 다이어트 식품은 이 기간 특가 판매 영향으로 228% 증가했다. 만보기(50%)나 줄넘기(15%) 등 운동 기구도 봄을 앞두고 많이 팔렸다.

11번가에서도 짐볼이나 요가 매트 등 다이어트 용품 판매가 직전 주보다 35%, 다이어트 식품은 17% 증가했다.

인터파크에서는 생식이나 선식 등 다이어트 식품 판매량이 전주보다 47%, 다이어트 DVD·요가 매트·짐볼 등 다이어트 용품 판매량은 같은 기간 61% 신장했다.

업계 관계자는 “날씨가 따뜻해지면서 줄넘기나 훌라후프 등 다이어트 용품과 식사 대용 식품을 찾는 고객이 늘고 있다”며 “특히 미세먼지와 황사 영향으로 야외보다는 실내에서 할 수 있는 운동용품 판매가 증가하고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