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자금 ‘700조 시대’…금융위기 후 증가폭 최대

부동자금 ‘700조 시대’…금융위기 후 증가폭 최대

입력 2014-03-16 00:00
업데이트 2014-03-16 10:2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지난해 단기 부동자금이 세계 금융위기 이후 가장 큰 폭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식, 펀드, 은행, 부동산 등에서 투자처를 찾지 못한 부동자금은 ‘700조원 시대’를 맞았다.

16일 금융투자협회와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으로 단기 부동자금은 712조8천854억원에 달했다.

연말 기준으로 단기 부동자금이 700조원을 넘은 것은 처음이다.

이 자금은 2008년 말 540조원에서 세계 금융위기를 겪으며 2009년 말 647조원으로 급증했고 이어 2010년 말 653조원, 2011년 말 650조원, 2012년 말 666조원으로 증가세를 보였다.

급기야 지난해 말에는 700조원 선을 돌파해 600조원 선을 넘은 지 4년 만에 700조원 시대를 열었다.

단기 부동자금은 2009년 말 647조원으로 전년 말보다 19.8% 증가했고 이후 증가 폭은 2010년 1.0%, 2011년 -0.5%, 2012년 2.5%로 크게 줄었다가 지난해 7.0%로 다시 높아졌다.

지난해 말 단기 부동자금 중 현금은 53조원, 요구불예금 126조원, 수시입출식 저축성예금 327조원, 머니마켓펀드(MMF) 44조원, 양도성예금증서(CD) 22조원, 종합자산관리계좌(CMA) 36조, 환매조건부채권(RP) 10조원이다. MMF 수치 등은 정부와 비거주자 보유분을 제외한 것이다.

여기에 6개월 미만 정기예금 71조원과 증권사 투자자예탁금 14조원을 합한 것이 시중에 대기 중인 단기 부동자금이다.

단기 부동자금이 계속 증가하는 것은 돈이 들어갈 투자처를 찾기 어렵기 때문이다.

은행 금리는 낮고 주식과 펀드는 수익을 내지 못하고 있다.

이제 시중은행의 1년짜리 정기 예·적금 상품에서 3%대 금리를 거의 찾을 수 없다.

1년짜리 정기적금 금리는 하나은행의 오!필승코리아적금2014는 2.90%, 국민은행의 e-파워자유적금은 2.80%, 우리은행의 우리사랑정기적금은 2.70%, 기업은행의 신(新)서민섬김통장은 2.60%, 신한은행 미션플러스적금은 2.60% 등이다.

주식 시장은 마이너스(-) 수익률을 보이고 있다.

지난해 말 2,011.34인 코스피는 이달 14일 현재 1,919.90으로 오히려 4.6% 내렸다. 올해 들어 주식에 투자했다면 원금도 못찾고 손실을 보고 있다는 이야기다.

우크라이나 사태와 중국의 경기둔화 우려가 커지며 당분간 투자심리는 더욱 위축될 것으로 보인다.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설정액이 10억원 이상인 펀드를 기준으로 국내 주식형 펀드 수익률은 올해 들어 이달 13일까지 -3.99%로 원금을 까먹고 있다.

해외채권형 펀드 수익률은 연초 이후 1.64%에 그치고 있고 국내채권형은 0.73%, 해외주식형은 -4.71%로 실적이 저조하다.

그나마 정부가 지난해 ‘4·1부동산 대책’과 ‘8·28전월세 대책’ 등을 발표하며 주택 거래가 늘고 있어 부동산 시장이 홀로 활기를 띠고 있다. 하지만 부동산 투자심리가 얼마나 풀리지는 지켜볼 일이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