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DI·하버드大 “한국경제 저성장 추세 받아들여야”

KDI·하버드大 “한국경제 저성장 추세 받아들여야”

입력 2014-03-12 00:00
업데이트 2014-03-12 10:4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국 경제가 저성장 추세로 접어든 것을 수용하고 새로운 발전 전략을 모색해야 한다는 의견이 12일 나왔다.

드와이트 퍼킨스 하버드대학교 아시아센터 소장과 배리 아이켄그린 UC버클리대학교 교수, 신관호 고려대학교 경제학과 교수 등 3명의 연구진은 “한국이 낮아지는 성장률을 지나치게 우려하기보다 이런 변화를 수용하고 새로운 상황에 맞는 발전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밝혔다. 연구진은 한국개발연구원(KDI)과 미국 하버드대학교가 진행 중인 공동 기획 연구시리즈의 일환으로 ‘기적에서 성숙으로’란 제목의 책자를 발간하면서 이같이 말했다.

연구진은 1960년대부터 현재까지의 한국의 성장구조 변화를 분석해 한국의 성장둔화에 대한 우려가 지나치다고 지적했다.

외환위기 이전보다 낮은 성장률은 한국경제가 성숙 단계에 이르렀다는 사실을 방증하는 것으로 인적·물적 자원이 부족한 성장 초기에는 정부가 성장동력이 되는 산업을 결정하고 자본을 투입하는 방식이 성과를 낼 수 있지만, 현 단계에서는 경제성장률을 파격적으로 높이는 손쉬운 방법이 없다고 규정했다.

연구진은 “새로운 저성장 국면에서는 교육을 개혁해 인력의 질과 경쟁력을 높이고 서비스산업을 육성해 양질의 일자리 창출하며 외국인직접투자를 확대하는 등 방안을 제안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