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해 국내 반도체 시장에 파란불

새해 국내 반도체 시장에 파란불

입력 2013-12-31 00:00
업데이트 2013-12-31 03:4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삼성전자·SK하이닉스, 차세대 모바일 메모리 LPDDR4 개발

세계 D램 시장에서 1, 2위를 달리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나란히 세계 최초로 차세대 모바일용 메모리 반도체(LPDDR4: Low Power DDR4) 개발에 성공했다. 내년 메모리 반도체 시장에서 모바일 D램이 최초로 PC시장을 넘어설 것이라는 예상이 나오는 점 등을 고려하면 국내 반도체 업계에 파란불이 켜진 셈이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30일 데이터 전송 속도를 2배로 높이고 소비전력은 40%까지 낮춘 차세대 모바일 메모리 ‘8Gb(기가비트) LPDDR4’를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고 밝혔다. 20나노급 기술을 적용한 이 제품은 현재 시장을 이끄는 LPDDR3의 데이터 전송 속도(1600Mbps)보다 2배(3200Mbps) 빠르다. 동작할 때 필요한 전압도 1.2V(LPDDR3 기준)에서 1.1V로 낮췄다. PC 등에 쓰이는 DDR램보다 전력 사용량이 적은 LPDDR램은 스마트폰과 태블릿 등 배터리 의존도가 높은 모바일 기기에 주로 쓰인다. 차세대 모바일 D램의 국제 규격에도 부합해 시장성도 밝다.

LPDDR4는 이르면 내년 말부터 최고 사양의 모바일 기기에 시범적으로 탑재될 것으로 보인다. 삼성전자는 내년 초부터 양산에 돌입한다. 하반기에는 울트라고화질(UHD)을 지원하는 스마트폰, 태블릿, 노트북 등에 LPDDR4를 탑재해 프리미엄 시장을 공략할 예정이다. 반면 SK하이닉스는 내년 하반기 양산을 목표로 판로를 구축 중이다. 시장이 본격적으로 구축될 때까지 기다리겠다는 전략이다. 그렇다고 모바일 D램 시장이 곧바로 LPDDR3에서 LPDDR4로 세대교체를 하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글로벌 시장에서는 LPDDR3도 여전히 혁신적인 신제품으로 여겨지고 있기 때문이다.

최근 D램 시장은 PC에서 모바일로 빠르게 무게중심이 옮겨 가고 있다. 시장 조사 기관 아이서플라이는 모바일 D램 세계 수요(1Gb 기준)가 올해 110억개에서 2014년 175억개로 59%가량 성장할 것으로 예상했다. 반면 PC용 D램 수요는 올해 128억개에서 내년 147억개로 14.8% 증가하는 데 그칠 것으로 분석했다. 가트너도 전체 D램 시장 중 모바일용으로 쓰이는 D램 비중(금액 기준)이 내년에 46%에 달할 것으로 전망했다. 1970년대 인텔이 D램을 개발한 이후 40년간 D램 시장을 주도해 온 PC자리를 모바일 기기가 빠르게 대체하고 있는 셈이다. 이런 상황을 간파한 국내 반도체 업체들은 모바일 D램 설비를 늘리는 한편 연구 개발에도 투자를 아끼지 않는 등 발 빠르게 대응했다.

유영규 기자 whoami@seoul.co.kr
2013-12-31 19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