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대 시장 중국을 공략하다

거대 시장 중국을 공략하다

입력 2013-08-29 00:00
업데이트 2013-08-29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1992년 한·중수교 이후 중국은 단순한 상품 생산기지에서 점차 한국을 먹여 살리는 거대 소비시장으로 변모했다. 2000년대부터 중국은 한국의 최대 교역국의 지위를 유지하고 있다. 중국으로서도 한국이 3위 교역 대상국이다. 떼려야 뗄 수 없는 전략적 협력 동반자 관계로 발전한 것이다. 도시화는 중국 경제성장의 핵심 동력이다. 삼성경제연구소는 2020년까지 매년 서울 인구보다 많은 1600만명의 농촌인구가 도시로 이동, 2020년에는 중국 인구의 55%인 7억 5000만명이 도시에 살 것으로 추정했다. 인구 100만명 이상의 큰 도시가 220개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도시의 발전은 곧 대형 소비권역의 형성을 뜻한다. 2020년 중국의 민간소비는 8조 6000억 달러로 일본(4조 5000억 달러)의 약 2배이자 미국(15조 3000억 달러)의 절반 이상으로 성장할 전망이다.

소비의 성격도 식료품 구매 등 살기 위한 ‘생계형’에서 주택, 교통, 통신, 여가 지출 등 삶을 즐기는 ‘향유형’으로 빠르게 바뀌고 있다. 중국 소비시장의 급성장은 한국 기업에는 매출을 늘릴 수 있는 절호의 기회다. 중국 소비자의 지역, 계층별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전략이 필요하다. 일부 한국 기업은 중산층을 겨냥한 고급화 전략으로 성공을 거뒀다. 반면 국내 대형마트들은 현지화의 실패로 고전 중이다. 이와 관련, 전문가들은 제품 기획부터 판매, 핵심인력 등 모든 부분을 철저히 현지화하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특히 사업을 유지, 확장하려면 중국 정부와 현지 기업들과의 동반자 관계 형성에도 공을 들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오달란 기자 dallan@seoul.co.kr



2013-08-29 18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