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산업 미래 성장엔진을 찾아라] 조직 안정화로 금융저성장 돌파 ‘선봉’

[금융산업 미래 성장엔진을 찾아라] 조직 안정화로 금융저성장 돌파 ‘선봉’

입력 2013-08-29 00:00
업데이트 2013-08-29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동우 회장은

신한금융지주는 올 상반기 1조 363억원의 순이익을 올렸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9% 줄었지만 다른 금융지주사의 2배 수준에 이르는 성적이다.
한동우 신한금융지주 회장
한동우 신한금융지주 회장


위기에 힘을 발휘한 신한금융의 능력은 상대적으로 안정된 조직 체제에서 비롯됐다. 2010년 이른바 ‘신한 사태’로 불리는 최고경영진 내부의 분쟁은 신한금융을 큰 위기로 끌고 갔다. 이런 상황 속에서 2011년 3월 취임한 한동우(65) 회장은 조직을 안정시키는 데 중점을 두는 한편 ‘따뜻한 금융’을 기치로 내걸었다.

여신 전문가인 한 회장은 취임 이후 건설·조선 업종에 대한 불황이 길어지자 거액 여신에 대한 검토를 강화했다. 특히 그룹 차원에서 위험이 높은 분야에 대해 자산 성장을 억제하는 등 쏠림 현상을 미리 제어했다. 그 결과 신한금융의 올 2분기 대손충당금 전입액은 2510억원으로 1분기보다 1352억원(35%) 감소했다. 조선·해운 업체에 대한 대손충당금은 다른 금융지주의 절반도 되지 않는다. 한 회장은 “금융회사는 대출해 주는 기관이라기보다는 고객의 소중한 예금을 잘 운용하는 기업이다. 리스크 관리는 수익을 좇는 행위가 아니라 고객에 대한 당연한 의무다”라는 말을 입버릇처럼 강조한다.

한 회장은 올해 신한금융의 목표를 ‘신한 재창조, 위대한 신한을 위한 준비’로 정했다. 저금리·저성장 기조로 금융업이 어려움에 처했지만 이렇게 불확실성이 높을수록 변화에 맞게 대처해야 한다는 이유에서다. 안으로는 금융지주 계열사 간 시너지 효과를 창출하고 밖으로는 글로벌 사업을 강화한다는 구상이다. 이를 위해 2015년까지 글로벌 사업 비중을 순익의 10%로 확대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한 회장은 “조직구조나 운영체계 등 시스템을 변화해 저성장·저수익이라는 현실에 맞는 효율성을 확보해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이민영 기자 min@seoul.co.kr

2013-08-29 17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