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뱅킹 갑자기 중단되면 금융사기 의심하세요”

“인터넷뱅킹 갑자기 중단되면 금융사기 의심하세요”

입력 2013-08-19 00:00
업데이트 2013-08-19 14:3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금감원, 신종 전자금융사기 소비자경보 발령

금융감독원은 최근 인터넷뱅킹 거래가 중단된 직후 본인 모르게 예금이 인출되는 신종 금융사기가 늘고 있다며 소비자경보를 발령한다고 19일 밝혔다.

신종 금융사기는 정상적인 은행 인터넷뱅킹 홈페이지에서 자금이체를 하면서 보안카드 번호 2개를 입력한 직후 거래가 갑자기 중단되는 경우에 의심해볼 수 있다.

이체 도중 거래가 정지됐다 다시 거래를 하면 은행 시스템은 거래 정지 당시 요구됐던 보안카드 번호를 다시 요구하도록 돼 있다. 금감원은 사기범들이 이런 점을 악용해 고객 컴퓨터에 악성코드를 심어놓고 오류를 유발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실제로 최모씨는 이달 6일 오후 4시께 인터넷뱅킹으로 돈을 이체하던 중 진행이 되지 않아 거래를 중단했는데 같은 날 오후 10시께 890만원이 계좌에서 빠져나갔다.

금감원은 보안카드 번호가 입력되지 않고 거래가 종료된 뒤 다음 거래가 다른 컴퓨터에서 이루어질 경우 은행들이 고객에게 의심거래 발생 사실을 문자메시지로 통지하고, 보안카드 재발급이나 일회용비밀번호(OTP)카드 이용을 권장하도록 할 것을 지도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보안카드 번호를 제대로 입력했는데도 다음 단계로 진행되지 않으면 금융사기일 가능성이 있으므로 본인 계좌에 대한 지급정지 요청을 해야 한다”며 “평소에도 컴퓨터 백신 프로그램을 최신버전으로 유지하고 OTP 등 안전성이 높은 보안매체를 사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예금인출 피해를 당하면 해당 금융회사나 경찰청(☎112)에 신고하고 사기계좌의 지급정지를 요청해야 한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