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하루 전력난 위기 넘기지만…

하루하루 전력난 위기 넘기지만…

입력 2013-08-14 00:00
업데이트 2013-08-14 00:1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민간 발전기 가동 등 지출…이틀새 비용 80억이상 써

공공기관과 민간 기업의 전기 사용 억제를 통해 전력 수급 이틀째 위기를 무사히 넘겼다. 하지만 민간 발전기 가동과 산업계 조업일정 조정 등 수급관리를 위해 정부는 불과 이틀 사이에 80억원 이상의 비용을 지출했다.

전력거래소는 13일 오후 2시 50분 전력공급 능력을 시간당 7704만㎾까지 끌어올렸으나, 최대 전력수요가 예상(8050만㎾)보다 낮은 7286만㎾에 그치면서 예비전력을 418만㎾ 유지했다고 밝혔다. 앞서 오전 11시 19분 예비전력이 450만㎾ 미만으로 떨어지면서 전력경보 1단계 ‘준비’가 발령됐다.

정부가 산업계의 전력 수요를 줄이고자 지난 12일 하루 동안 지출한 금액은 총 41억 4000만원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사전에 약정한 기업체의 도움을 받아 전력부하를 줄이는 ▲주간예고(감축량 91만㎾)에 18억원 ▲민간 자가발전기 가동(49만㎾)에 14억원, 휴가 분산으로 전력 소비를 줄이는 ▲지정기간(152만㎾)에 6억 6000만원 ▲수요 입찰과 지능형 수요조정(18만㎾)에 2억 8000만원을 썼다. 13일도 이와 비슷한 금액을 지출한 것으로 추산된다.

그 비용은 세금으로 조성된 ‘전력산업기반기금’에서 충당되며, 올해 운영 규모는 2조 5677억원에 달한다. 따라서 정부가 전력공급 능력을 정확히 예측해 발전기 증설 등을 했다면 지출할 필요가 없었던 세금이 낭비된 것이라는 따가운 지적이 나온다.

한편 올 연말까지 신월성 원전 2호기(100만㎾급)와 신고리 3호기(140만㎾급)의 완공이 예정돼 있지만, 신고리 3호기는 밀양 송전탑 문제와 얽혀 있기 때문에 곧바로 전력 송출이 가능할지는 불투명하다.

김경운 기자 kkwoon@seoul.co.kr

2013-08-14 18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