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궁경부암 백신, 필수접종하기엔 비용효과 낮아”

“자궁경부암 백신, 필수접종하기엔 비용효과 낮아”

입력 2013-07-01 00:00
업데이트 2013-07-01 09:1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양질의 수명 1년 늘리는 데 3천200만원 들어

자궁경부암 예방 효과가 있는 인유두종 바이러스(HPV) 백신을 국가 필수예방접종으로 도입하기엔 비용효과성이 떨어진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1일 한국보건의료연구원(NECA)의 ‘인유두종 바이러스 백신의 경제성 분석’에 따르면 HPV 백신을 국가 필수예방접종으로 만 12세 여아에게 접종하면 ‘질이 보장되는 삶을 누릴 수 있는 수명(QALY·질 보정 수명)’이 1년 느는 데 3천2백만원이 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의 비용효과성 기준이 질 보정 수명 1년 당 2천만~3천만원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HPV 필수예방접종의 비용효과성이 낮은 것으로 분석된다.

만 12세 여아를 대상으로 HPV 필수예방접종 프로그램을 시행하면 자궁경부암 발생 환자는 2천42명으로 현행 검진 프로그램보다 자궁경부암 환자 수를 1천667명 줄 일 수 있었다. 이때 늘어나는 ‘질 보정 수명’은 1천849QALY였다.

그러나 백신 가격이 비싸다는 점이 걸림돌이다.

국내 시판 HPV 백신인 가다실과 서바릭스의 가격을 70% 할인한다고 가정하더라도 1인당 접종비용이 34만3천144원으로 접종에만 드는 총 비용이 909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를 현행 검진프로그램의 비용과 비교하면 예방접종프로그램 도입 때 드는 총 비용은 1천679억원이며, 도입 전 비용인 1천72억원으로 현재와 비교할 때 약 598억원이 추가로 들었다.

보건의료연구원은 “한국 상황에서 12세 여아에게 HPV 백신접종 프로그램이 비용효과적이지 않았다”면서도 “HPV 백신의 비용을 50%까지 낮추는 등 백신가격, 효과, 할인율 등이 바뀌면 비용효과성 여부에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점은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