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살 늘어나는데 자살보험금 감소하는 이유는

자살 늘어나는데 자살보험금 감소하는 이유는

입력 2013-01-12 00:00
업데이트 2013-01-12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지난해부터 ‘자살 보험금’ 지급이 줄고 있어 다양한 해석이 나오고 있다. 그동안 자살률은 꾸준히 높아져 왔기 때문이다. 사망담보상품 가입이 적은 젊은 층 자살률(10만명당 자살자 수) 상승이 보험금 지급 감소로 이어졌다는 해석이 가장 많았다. 11일 생명보험업계에 따르면 삼성·한화·교보생명의 2012년 자살 보험금 지급 건수는 4022건으로 2011년(4645건)보다 약 13% 줄었다. 보험금 지급액도 지난해 1040억원으로 전년(1107억원)보다 6%가량 줄었다.

통계청에 따르면 2001년 14.4명이었던 자살률은 2011년 31.7명까지 높아졌다. 전체 생보사의 보험금 지급건수도 2006년 2857건에서 2011년 6415건으로 늘어났다.

이를 두고 ‘청소년 자살률’ 증가에서 원인을 찾는 해석이 많았다. 연령별 자살률을 살펴보면 10대가 전년 대비 6.8% 증가해 연령 중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이어 30대(3.2%), 50대(2.7%) 순이었다. 이에 반해 60대와 80대는 각각 4.8%, 5.3% 줄었다. 한 생보업계 관계자는 “젊은 층일수록 생명을 담보로 하는 상품에 가입하는 비중이 높지 않다”면서 “청소년 자살률 증가가 보험금 지급이 줄어든 이유와 무관하진 않을 것”이라고 봤다.

이창우 보험연구원 연구위원은 “보험회사에서 가입심사할 때 자살 가능성이 높은 이들을 받아들이지 않았을 수도 있고 자살했지만 다른 사고로 가장한 보험사기일 수도 있다”면서 “2012년 자살률 통계가 나오지 않아 정확한 원인을 꼽기가 어렵다”고 말했다.

이성원 기자 lsw1469@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