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의 허리’ 중견기업 규모 韓 세계 최저 수준”

“’경제의 허리’ 중견기업 규모 韓 세계 최저 수준”

입력 2013-01-02 00:00
업데이트 2013-01-02 08:2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코트라 보고서…”독일 잘 나가는 것은 중견기업 때문”

국내 중견기업 규모가 세계 주요 경쟁국에 비해 크게 뒤처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구조에서 대기업과 중소기업 사이에 있는 중견기업은 국가 경제의 중추 역할을 하는 기업군(群)으로, 그 중요성이 점차 커지면서 주요국들이 앞다퉈 육성 정책에 나서는 상황이다.

2일 코트라 보고서에 따르면 2010년 기준으로 국내 312만5천457개 기업 가운데 중견기업은 1천291개로, 비중으로 치면 0.04%에 불과했다. 중소기업이 312만2천332개로 압도적 다수였고 대기업은 187개였다.

중견기업의 고용 규모도 108만명으로 전체 1천413만명의 7.6% 수준에 머물렀다.

중소기업기본법이 정의한 중견기업 기준은 3년 평균 매출이 1천500억원 이상이지만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대기업)군에는 속하지 않는 회사다.

반면 세계 주요 경제국의 경우 중견기업 분류 기준이 다른 점을 고려하더라도 우리나라와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의 ‘미들 파워’를 갖춘 것으로 조사됐다.

연 매출액 100만~5천만유로(약 700억원)가 중견기업 기준인 독일은 전체 360만개 기업 가운데 43만개(11.8%)가 이에 해당했다. 고용 인원도 1천184만명으로 전체 46%에 달했다.

세계 최고 수준의 경쟁력을 가진 이들 중견기업은 글로벌 금융위기·유로존 재정위기에서도 성장을 지속한 독일 경제의 힘의 근원이었다고 보고서는 평가했다.

독일과 비슷한 기업 분류 방식을 가진 스웨덴(13%), 스위스(2%), 네덜란드(1.2%), 영국(0.7%), 이탈리아(0.5%) 등 유럽 국가 대부분은 나라마다 편차는 있지만 모두 우리나라보다 중견기업 비중이 컸다.

아시아 국가 중에서는 중국이 전체 1천만개 기업 가운데 45만개(4.4%)가 중견기업으로 분류돼 가장 비중이 높은 축에 속했다. 중국은 연 매출액 2천만~4억위안(약 680억원)을 중견기업으로 본다.

연 매출액 10억엔(약 1천200억원)으로 우리나라와 기준이 비슷한 일본은 180만개 기업 중 6만6천개(3.7%), 200억대만달러(약 7천200억원)가 기준인 대만도 127만개 중 2만7천개(2.2%)가 중견기업에 속했다.

보고서는 “독일이 글로벌 경제위기 속에서도 잘 나가는 것은 세계 최강의 중견기업 파워가 경제를 떠받치고 있기 때문”이라며 “중견기업을 키우지 않고서는 지속 성장을 담보할 수 없는 만큼 보다 적극적인 대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