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소비자물가 2.1% 올라…두달째 2%대

10월 소비자물가 2.1% 올라…두달째 2%대

입력 2012-11-01 00:00
업데이트 2012-11-01 08:2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신선식품지수 12.0%, 근원물가 1.5%, 생활물가 1.6% 상승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2%대의 안정적 흐름을 보였다.

통계청이 1일 발표한 소비자물가 동향을 보면 10월 소비자물가지수는 지난해 같은 달보다 2.1% 상승했다.

소비자물가는 지난 3~6월 2%대를 유지하다가 7월 1.5%, 8월 1.2%로 낮아지고서 9월 2.0%를 기록한 이후 2개월째 2%대를 이어갔다.

전월과 비교하면 0.1% 하락했다. 8, 9월엔 태풍 영향으로 전월 대비 상승했으나 3개월 만에 하락세로 돌아섰다.

농산물과 석유류를 제외한 근원물가는 지난해 같은 달보다 1.5% 올랐고 전월 대비는 변동이 없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기준 근원물가인 식료품ㆍ에너지제외지수의 작년 동월 대비 상승률은 9월과 같은 1.4%였다.

생활물가지수는 작년 같은 달보다 1.6% 올랐으나 전월보다는 0.4% 내렸다.

신선식품지수는 전달보다 3.0% 떨어졌다. 1년 전과 비교해 12.0% 오른 수준이나 지난해 10월에 전년 동월 대비로 10.1%나 급락했던 기저효과 때문으로 보인다.

전월 대비로 신선어개는 1.2%, 신선채소는 9.5%, 신선과일은 1.8% 각각 내렸다.

지출 목적별로 보면 전월과 비교해 오락ㆍ문화와 주택ㆍ수도ㆍ전기ㆍ연료가 각각 0.5%, 0.3% 올랐다. 교육과 음식ㆍ숙박도 0.1%씩 상승했다. 식료품ㆍ비주류음료는 1.5%, 의류ㆍ신발과 가정용품ㆍ가시서비스는 0.5% 내렸다.

작년 동월과 비교해선 기타상품ㆍ서비스(-3.9%), 통신(-1.2%)만 내리고 나머지 부문은 모두 올랐다.

품목성질별로는 농축수산물이 전월보다 2.5% 떨어졌다. 작년 같은 달보다는 3.0% 올랐다.

주요 품목을 보면 포도(14.9%), 배(14.5), 토마토(14.1%), 당근(25.5%), 무(12.8%) 등이 전달보다 가격이 급등했고, 돼지고기(-10.5%), 시금치(-52.0%), 상추(-48.1%), 호박(-42.0%), 오이(-34.3%) 등은 많이 하락했다.

작년 같은 달과 비교해선 사과(26.6%), 배추(72.4%), 파(86.6%), 배(45.6%), 피망(65.1%) 등의 가격이 높은 수준을 보였다. 돼지고기(-10.7%), 고등어(-10.7%), 당근(-26.2%), 명태(-13.1%), 감자(11.6%) 등은 가격이 하향 안정된 모습이다.

공업제품은 전월보다 0.2% 내렸고, 작년 동월과 비교해선 2.2% 올랐다. 전달과 비교해 자동차용 LPG가 5.8%, 초코파이가 9.4% 올랐고, 여자구두는 10.5%, 휘발유는 0.9% 내렸다.

서비스 부문은 전월과 비교해 0.2%, 작년 같은 달보다는 1.4% 각각 상승했다.

이중 전세가 전년 동월 대비로 4.1%, 월세는 2.3% 올라 전체 집세는 3.5% 상승세를 기록했다.

공공서비스는 전월 대비로 변동이 없으며, 1년 전보다 1.1% 올랐다. 이 중 시내버스요금(10.1%), 전철료(13.2%), 하수도료(13.4%) 등이 상승했다. 이동전화료(-2.5%), 국공립대학교 납입금(-8.2%)은 내렸다.

개인서비스는 작년 같은 달보다 0.7% 올랐다. 중학생 학원비(6.8%), 고등학생 학원비(7.7%), 초등학생 학원비(5.1%) 등 사교육비가 상승세를 보였다.

16개 광역시도별로 보면 인천, 강원, 경북, 제주는 변동이 없다. 서울, 부산 등 11개 시도는 0.1~0.2%씩 떨어졌다. 경남은 0.3% 내려 하락률이 가장 높았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