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금융안정 보고서 ‘온통 잿빗’] 대기업 한계기업 급증

[한은 금융안정 보고서 ‘온통 잿빗’] 대기업 한계기업 급증

입력 2012-11-01 00:00
업데이트 2012-11-01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단기차입금 비중 78%… 정상기업의 2배 달해

경기불황이 지속되면서 대기업집단도 안전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계기업의 도산 위험이 커지면서 소속 대기업집단의 부실로 확산될 가능성이 우려된다.

한국은행이 31일 발표한 ‘금융안정보고서’에 따르면 대기업집단에 속한 한계기업은 2010년 말 19개에서 2011년 말 22개, 2012년 6월 말 23개로 꾸준히 늘고 있다.

대기업집단은 자산총액 5조원 이상으로 상호출자제한기업으로 지정된 기업집단이다. 한계기업은 영업이익으로 이자를 갚는 이자보상비율이 3년 연속 100%에 미치지 못하거나 영업활동 현금흐름이 마이너스인 회사다. 즉, 영업활동으로는 이자도 못 갚는 경우다.

계열사 가운데 한계기업이 있는 대기업집단은 다른 대기업보다 차입금 의존도가 높은 데다 평균 차입금리마저 높았다. 한계기업의 차입금 의존도가 2010년 말 35%에서 2012년 6월 말 41%로 상승한 영향으로 분석된다. 정상기업의 차입금 의존도는 같은 기간에 소폭(22%→24%) 상승하는 데 그쳤다.

상장사 중 한계기업은 2010년 말 14%였으나 2011년 말 15%, 2012년 6월 말 18%로 크게 늘었다. 기업 규모별로 보면 대기업은 2010년 말 11%에서 2012년 6월 현재 15%로, 중소기업은 같은 기간 17%에서 21%로 늘어났다.

한계기업의 채무 상환 능력도 나빠지고 있다.

6월 말 현재 한계기업의 단기차입금 비중은 78%다. 정상기업(42%)의 두 배다. 유동성을 나타내는 유동비율(유동자산/유동부채)은 2011년 말 91%에서 올 상반기 82%로 낮아졌다. 한은은 “한계기업의 단기차입금 의존도가 높아졌으나 단기 상환능력은 점차 낮아지고 있다”고 우려했다.

전경하기자 lark3@seoul.co.kr

2012-11-01 18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