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크게 웃고 애플 울상 짓다

삼성 크게 웃고 애플 울상 짓다

입력 2012-10-27 00:00
업데이트 2012-10-27 00:4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삼성, 사상 첫 ‘분기 영업익 8조원’… 애플, 3분기 연속 순익 감소

삼성전자와 애플이 같은 날 분기 실적을 발표했다. 양사의 희비는 극명하게 갈렸다. 삼성전자는 사상 최초로 ‘분기 영업이익 8조원’ 시대를 열며 승승장구했지만, 애플은 3분기 연속 영업이익과 순익이 감소를 겪으며 ‘아이폰5 효과’를 제대로 누리지 못했다.

삼성전자는 26일 3분기에 매출 52조 1800억원, 영업이익 8조 1200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분기 기준으로 삼성전자의 매출이 50조원, 영업이익이 8조원을 넘은 것은 처음이다.

2분기에 세웠던 사상 최대 실적도 갈아치운 것으로, 2분기와 비교해 매출은 9.6%, 영업이익은 20.8% 늘어났다.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하면 매출은 26.4%, 영업이익은 91.0% 증가했다. 이날 공시된 실적은 3주 전 발표했던 잠정실적(매출 52조원, 영업이익 8조 1000억원)보다도 소폭 늘어난 것이다. 무엇보다 ‘갤럭시S3’ 등 프리미엄 스마트폰 판매 호조에 힘입어 정보기술·모바일(IM) 부문의 실적이 크게 신장한 효과를 봤다. 삼성전자 IM 부문은 3분기에 5조 6300억원의 영업이익을 거둬 전 분기보다 무려 1조 5000억원가량 늘어났다.



이미지 확대
애플 홈피에 “삼성 안베꼈다”   애플이 25일(현지시간) 자사 영국 홈페이지에 게재한 “삼성전자의 갤럭시탭이 아이패드를 베끼지 않았다.”는 내용의 영국 법원의 판결문 내용 일부. 판결문 게재는 지난 18일 영국 법원의 결정에 따른 조치다. 연합뉴스
애플 홈피에 “삼성 안베꼈다”

애플이 25일(현지시간) 자사 영국 홈페이지에 게재한 “삼성전자의 갤럭시탭이 아이패드를 베끼지 않았다.”는 내용의 영국 법원의 판결문 내용 일부. 판결문 게재는 지난 18일 영국 법원의 결정에 따른 조치다.
연합뉴스


지난 5월 발표한 갤럭시S3가 출시 50일 만에 1000만대, 100일 만에 2000만대 판매를 돌파한 덕분이다. 올해 안에 3000만대 판매가 무난할 것으로 전망돼 IM 부문의 선전은 4분기에도 지속될 전망이다.

반면, 애플은 세 분기 연속 순익이 감소하는 등 ‘아이폰5’를 내놓고도 반등의 기회를 마련하지 못했다. 애플은 4분기 실적에서 매출 359억 6600만 달러, 영업이익 109억 4400만 달러, 순익 82억 2300만 달러를 기록했다.

특히 영업이익과 순익이 모두 지난해 10~12월에 정점을 찍은 뒤 계속 내리막길이다. 새 아이폰 출시에도 불구하고 전체 판매는 3000만대 문턱을 넘지 못한 채 2690만대로 만족해야 했다. 공급 부족과 배송 지연 등이 맞물리면서 아이폰5의 판매량이 기대보다 저조했던 탓이다. 실제로 미국 최대 통신사인 버라이즌에서는 3분기 실적발표에서 아이폰5를 65만대가량 판매했다고 밝혔다. 목표치는 100만대였다. 태블릿PC ‘아이패드’ 판매량도 기대에 못 미친 1400만대 판매에 머물렀다.

애플이 주춤하는 사이 삼성전자는 3분기 전 세계에서 5630만대의 스마트폰을 팔아 판매량 1위 자리를 지켰다. 시장조사기관 IDC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3분기 세계 휴대전화 시장에서 점유율 23.7%를 차지했고, 노키아가 18.7%로 뒤를 쫓았다. 애플은 시장 점유율 15%로 3위에 그쳤다.

그럼에도 애플은 여전히 고효율 경영을 이어갔다. 애플의 7~9월 영업이익률은 30.27%로 제조업체로서는 가히 경이적이라 할 만하다. 삼성전자 영업이익률(15.57%)의 두 배다.

실적이 좋다고 삼성전자가 마냥 웃고 있을 상황은 아니다. 이번 분기에도 스마트폰 사업에 지나치게 편중됐다는 점이 과제로 지적됐다. 3분기 삼성전자 IM 부문의 영업익은 5조 6300억원으로, 전체(8조 1200억원)의 69%에 달한다.

한편, 이명진 삼성전자 IR팀 전무는 3분기 실적발표 뒤 가진 콘퍼런스콜(전화회의)에서 애플과의 소송 배상액에 대한 충당금을 소송 결과가 나오는 대로 즉시 설정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그는 “법원 판결이 나오는 대로 반영하는 것이 회계 원칙이기 때문에 결과에 따라 바로 반영할 것”이라고 답했다.

양사 특허소송을 담당하는 미국 북부캘리포니아 연방지방법원 새너제이 지원의 배심원단은 지난 8월 삼성이 애플의 스마트폰과 태블릿PC 특허를 침해한 사실이 인정된다며 10억 5185만달러(약 1조 2000억원)의 배상 평결을 내렸다.

류지영기자 superryu@seoul.co.kr

2012-10-27 15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