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블로그] 금통위 열린 날 한은 총재의 넥타이 색은?

[경제 블로그] 금통위 열린 날 한은 총재의 넥타이 색은?

입력 2012-10-25 00:00
업데이트 2012-10-25 00:4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붉은색땐 금리변동… 푸른색땐 동결

다음 달 9일에는 김중수 한국은행 총재가 넥타이를 맬 때 무척 고민할 듯싶다. 기준금리 변경 등 ‘중대 발표’가 나올 때는 총재가 붉은색 넥타이를 맨다는 흥미로운 주장이 나왔기 때문이다.

김중수 한국은행 총재 연합뉴스
김중수 한국은행 총재
연합뉴스
24일 금융권에 따르면 김 총재는 그간 매달 기준금리를 결정하는 금융통화위원회 회의에 네 차례 붉은 넥타이를 매고 나왔다. 이 가운데 금리가 변경된 것은 세 차례다. 시작은 김중수호의 출항을 알리는 2010년 4월 금통위였다. 그 다음은 2011년 1월 금통위였다. 동물 무늬의 빨간 넥타이를 하고 나온 김 총재는 기준금리를 0.25% 포인트 올렸다. 한 달 건너뛴 3월, 총재는 또 붉은색 민무늬 넥타이를 매고 금리를 0.25% 포인트 올렸다. 가장 최근인 이달에는 금리를 0.25% 포인트 인하했다. 총재의 넥타이는 지난해 3월 금리를 올릴 때의 그 붉은색 민무늬였다. 금리를 동결할 때는 주로 남색·하늘색 등 푸른 계통의 넥타이를 맸다. 푸른색 넥타이를 매고 금리를 움직인 것은 2010년 7월과 11월 두 번뿐이었다. 눈썰미 좋고 말 만들기 좋아하는 시장 참가자들이 이를 놓고 “중대 결단은 붉은색 넥타이에서 나온다.”는 분석을 내놓기 시작한 것이다.

하지만 이 같은 예측이 꼭 맞아떨어지는 것은 아니다. 여름에는 넥타이 없는 쿨비즈 차림이라 ‘신통력’이 전혀 통하지 않는다. 실제 ‘깜짝 인하’로 시장이 크게 출렁거렸던 올 7월 금통위 때, 총재는 넥타이를 매고 있지 않았다.

이는 총재의 넥타이와 금리 간에 ‘정말’ 상관관계가 있다기보다는 그만큼 시장이 총재의 일거수일투족에 촉각을 곤두세운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금리 방향을 맞히느냐, 못 맞히느냐에 따라 엄청난 이익을 볼 수도, 거꾸로 엄청난 손실을 볼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된 총재의 발언도 재미 있다. 얼마 전 사석에서 “금통위가 열리는 날에는 넥타이를 신경 써서 맨다. 하지만 색깔 하나만 갖고 금리 방향을 쉽게 예측하도록 하지는 않는다.”고 말했다고 한다. 이래저래 다음 달 총재의 넥타이는 또 한번 회자될 것으로 보인다.

김진아기자 jin@seoul.co.kr

2012-10-25 17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는 입장을,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를 통해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