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경제 갈수록 악화… 올 성장률 3.3%로 후퇴”

“세계경제 갈수록 악화… 올 성장률 3.3%로 후퇴”

입력 2012-10-10 00:00
업데이트 2012-10-10 00:2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국제 경제기구 성장전망치 하향 잇따라

국제 경제기구들이 세계경제 성장 전망치를 잇따라 낮추며 경제위기의 심각성을 경고하고 나섰다.


국제통화기금(IMF)은 8일(현지시간) 발표한 세계경제 전망 보고서에서 “세계경제가 심각하게 악화할 가능성이 놀랄 만큼 높다.”면서 올해와 내년의 세계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각각 3.3%와 3.6%로 하향조정했다. 이는 IMF가 지난 7월 전망한 3.5%, 3.9%보다 각각 0.2%포인트, 0.3% 포인트 내려간 것이다. 중국 등 신흥 개도국 성장률도 지난 7월 5.6%, 5.8%에서 이번에는 5.3%, 5.6%로 전망돼 각각 0.3% 포인트, 0.2% 포인트 하향됐다. 보고서는 “미국과 유로존이 재정난을 극복할 수 있을지가 최대 관건인데, 이를 해결하지 못하면 세계경제가 더욱 곤두박질칠 것”이라고 경고한 뒤 “금융 신뢰가 여전히 예외적으로 취약하다.”고 지적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이날 발표한 34개 회원국의 경기선행지수(CLI)를 통해 역내 경제가 수개월간 더 악화될 것이라고 예고했다.

세계은행(WB)도 이날 발표한 동아시아·태평양 지역경제 전망 보고서에서 “역내 성장이 둔화하고 있다.”며 올 예상 성장률을 7.2%로 조정했다. 지난 5월 전망했던 7.6%에서 0.4% 포인트가 떨어졌다. 내년 성장 전망도 8.0%에서 7.6%로 하향했다.

이런 암울한 전망 속에 IMF·세계은행 연차총회가 9일 일본 도쿄에서 개막됐다. 14일까지 열리는 이번 총회에는 188개 회원국 재무장관과 중앙은행 총재, 금융기관 수장 등 약 2만명이 참석한다. 일본에서 IMF·세계은행 연차총회가 열리는 것은 1964년 이후 48년 만이다.

이번 총회의 최대 의제는 유럽 재정 위기와 중국·인도 등 신흥 개도국 경제 감속에 대한 대책이다. 이에 따라 11일 열리는 주요 7개국(G7) 재무장관·중앙은행총재 회의 등이 주목된다. 세계적인 곡물 가격 급등으로 고통받는 개발도상국 원조 방안이나 민주화 진전으로 경제 성장이 기대되는 미얀마 지원책, 신흥국 출자 비율이나 이사 수를 늘리는 IMF 개혁 방안도 주요 의제다.

연차총회와 함께 13일에는 동아시아 정상회의(EAS) 재무장관 회의가 열려 유럽 재정위기에 따른 아시아 경제 상황을 검토하고 금융협력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중국의 셰쉬런(謝旭人) 재정부장이 일본의 센카쿠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 국유화 조치 이후 중국의 장관급 인사로는 처음으로 방일할 예정이어서 중·일 간 접촉도 주목된다. 중국의 금융계 인사들은 센카쿠열도 국유화 조치에 반발, 이번 연차총회에 불참키로 했다.

도쿄 이종락특파원 jrlee@seoul.co.kr

서울 김미경기자 chaplin7@seoul.co.kr

2012-10-10 2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