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國 경제회복 속도 가장 빨랐다

韓國 경제회복 속도 가장 빨랐다

입력 2012-09-17 00:00
업데이트 2012-09-17 00:1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리먼 브러더스 파산 이후 4년 주요국 경제는

지금으로부터 꼭 4년 전인 9월 16일, 주식 투자자뿐 아니라 나라 전체가 새파랗게 질렸다. 추석 연휴를 끝내고 일터로 돌아오자마자 코스피지수가 전 거래일에 비해 90포인트(6.10%)나 하락하며 1400선이 무너졌기 때문이다. ‘피의 화요일’로 불리는 ‘리먼 쇼크’가 터진 바로 그날이다.

2008년 9월 15일(현지시간) 미국계 투자은행인 리먼 브러더스의 파산 신청으로 시작된 충격은 순식간에 전 세계로 번졌다. 이후 4년 동안 우리나라는 빠르게 위기에서 벗어났다. 국가부도 위험은 일본보다도 낮아졌다.

16일 금융권 등에 따르면 국내총생산(GDP) 세계 상위 10위 국가와 우리나라를 비교한 결과, 주가는 우리나라가 두 번째로 많이 올랐다. 2008년 10월 24일 938.75까지 떨어졌던 코스피는 지난 14일 2007.58로 2.14배 상승했다. 같은 기간 러시아 주가는 원자재 가격 상승 등에 힘입어 2.89배 올랐다.

미국 달러화에 대한 환율은 미국을 제외한 10개국 중 한국(21.54%)이 캐나다(24.40%)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이 내려갔다. 원화 가치가 그만큼 빨리 회복됐다는 뜻이다. 유로화 환율은 되레 3.24% 올랐다.

우리 정부의 외화채권에 대한 5년 만기 신용부도스와프(CDS) 프리미엄은 2008년 12월 31일 316bp(1bp=0.01% 포인트)에서 지난 14일 69bp까지 떨어졌다. 세계 최대 외환보유국인 중국(74bp)은 물론, 일본(70bp)보다도 낮다. CDS 프리미엄이 낮을수록 국가부도 위험이 낮다는 의미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등 3대 국제 신용평가사가 일제히 우리나라의 신용등급을 끌어올린 이유도 여기에 있다.

하지만 금융 지표와 달리 실물경제의 불안감은 여전하다. 우리나라는 명목 GDP에서 수출 비중이 58.1%(올해 1분기 기준)나 될 정도로 대외 충격에 허약하다. 당장 지난달 수출(429억 7000만 달러)은 유럽 재정위기 여파 등으로 1년 전보다 6.2% 감소하며 7월(-8.8%)에 이어 두 달 연속 고꾸라졌다. 정부가 목표한 올해 3%대 성장은 이미 물 건너 갔다는 게 중론이다.

기획재정부 고위관계자는 “문제는 내년에도 유럽 등 세계 경제가 불황에서 빠져나올 터닝 포인트가 보이지 않는다는 점”이라면서 “재정 투입 효과도 갈수록 줄고 있어 효과적인 위기대응책을 마련하는 게 쉽지 않다.”고 털어놨다.

이두걸기자 douzirl@seoul.co.kr

2012-09-17 16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