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국민 1인당 연간 보험료로 303만원 낸다

한국 국민 1인당 연간 보험료로 303만원 낸다

입력 2012-07-24 00:00
업데이트 2012-07-24 05:3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연간 수입의 11%가 보험료…일본보다 많아

우리나라 국민은 한해 300만원 이상을 보험료로 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해 버는 돈의 11% 이상을 보험료로 쓰는 셈이다.

24일 세계 2위 재보험사 스위스리가 발간한 시그마지에 따르면 지난해 세계 보험의 보험밀도(인구당 보험료)는 스위스가 8천12달러(913만원)로 1위였고 한국은 2천661달러(303만원)로 22위를 기록했다.

한국의 인구당 보험료는 손해보험료가 1천45달러(119만원), 생명보험료 1천615달러(184만원)다.

스위스 다음으로는 네덜란드(6천647달러), 룩셈부르크(5천974달러), 덴마크(5천619달러), 일본(5천169달러) 순으로 인구당 보험료가 많았다.

각국의 경제력을 고려하면 한국의 인구당 보험료가 과도한 편이다.

GDP 대비 보험료를 의미하는 보험침투율은 한국이 지난해 11.4%로 세계 5위다. 국민이 한해 버는 돈의 11% 이상을 보험료를 내는 데 썼다는 것을 의미한다.

대만이 17.0%로 최고였고 네덜란드(13.2%), 남아프리카공화국(12.9%), 영국(11.8%), 한국이 뒤를 이었다. 한국보다 경제력이 월등히 앞선 일본조차 11.0%에 그쳤다.

선진국의 평균 보험침투율(8.6%)에 비하면 한국은 2.8% 포인트나 높았다. 우리나라 국민은 불안한 사회ㆍ복지 여건 탓에 빡빡한 살림살이에도 보험료 부담을 높인 결과로 풀이된다.

이 때문에 지난해 국내 보험산업의 세계 순위는 8위로 한 단계 올라섰다.

지난해 총보험료는 미국이 1조2천46억달러(1천373조원)로 1위였고 일본(6천554억달러)과 영국(3천195억달러)이 뒤를 이었다. 한국은 1천303억달러(148조원)로 이탈리아(1천605억달러)에 이어 8위다. 지난해 8위는 캐나다(1천221억달러)였다.

2011회계연도 보험료수입은 삼성생명[032830] 22조8천641억원, 대한생명[088350] 11조8천321억원, 교보생명 10조8천337억원, 삼성화재[000810] 14조7천146억원, 현대해상[001450] 9조3천192억원, 동부화재[005830] 8조9천798억원이다.

보험산업 중 손해보험료는 지난해 512억달러(58조원), 생명보험료는 791억달러(90조원)로 각각 세계 10위와 8위를 기록했다. 세계 보험시장에서 한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2.6%에 달했다.

한 보험사 관계자는 “우리나라는 사회가 급변하고 사건사고가 많다 보니 보험산업이 다른 선진국보다 번창하고 있다”면서 “은퇴 뒤 사회 안전망이 부족한 점도 보험에 많은 돈이 드는 중요한 이유다”라고 분석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