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F “세계경제 성장률 3.4%대 후퇴”

IMF “세계경제 성장률 3.4%대 후퇴”

입력 2012-07-17 00:00
업데이트 2012-07-17 00:3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4월 전망 3.53%보다 다소 낮춰… 한국 포함 亞신흥국 2.7% 예상

국제통화기금(IMF)이 3개월 만에 올해 세계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하향 조정했다. 지난해 9월 전망치(4.0%)를 발표한 뒤 세 번째 수정이다. 유럽 재정 위기와 미국의 재정 긴축 가능성 등을 둘러싼 불확실성이 그만큼 크다는 의미다.

16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IMF는 올해 세계 경제가 전년에 비해 3.4% 후반대의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내다봤다. 지난 4월 세계 경제가 예상보다 호조를 보인다며 올린 3.53%보다 다소 낮지만 1월 전망치(3.3%)보다는 높은 편이다. 시장의 관심은 1월 전망치 수준으로 복귀하느냐였다. 그러나 IMF는 성장률을 내리면서도 충분한 정책 대응으로 유로존(유로화 사용 17개국) 위기가 점진적으로 완화되고 미국이 내년에 급격한 재정 긴축 정책을 펴지 않는다는 가정을 달았다.

이번에 성장률 전망을 끌어내린 주요 국가는 영국(-0.6% 포인트)을 제외하고는 모두 신흥국이다. 선진국의 경기 침체로 소비가 줄고 이에 따른 수출 둔화로 신흥국들의 경기 침체가 가시화되고 있음을 반영하는 것이다. 특히 우리나라가 속해 있는 아시아신흥공업국(NIE·한국, 타이완, 싱가포르, 홍콩)의 경제성장률을 4월보다 0.6% 포인트나 내린 2.7%로 전망했다. 인도(-0.7% 포인트), 브라질(-0.6% 포인트) 등의 전망치도 큰 폭으로 내렸다. 다만 중국은 0.2% 포인트 내린 8%대 성장률 전망치를 유지했다. 선진국(1.4%), 유로존(-0.3%)의 성장률 전망은 4월과 같다.

IMF는 위기 관리 정책이 최우선이라며 신흥국 중 인플레 압력이 제한적인 국가는 추가 금리 인하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권고했다. 금융통화위원회의 추가 금리 인하 가능성이 점쳐지는 대목이다. 재정 여건이 지속 가능한 국가는 자동안정장치를 완전히 작동시키고 금융 리스크(위험) 완화를 위해 건전성 규제·감독과 거시건전성 조치 등을 적절히 시행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전경하기자 lark3@seoul.co.kr

2012-07-17 21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