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노후준비 점수 평균 55.2점

국민 노후준비 점수 평균 55.2점

입력 2012-07-15 00:00
업데이트 2012-07-15 12:0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소득과 자산 부문 점수는 40.5점 불과…은퇴 앞둔 60대 상대적 ‘미흡’

우리 국민의 평균 노후준비 점수는 100점 만점에 55.2점 수준인 것으로 조사됐다.

보건복지부와 국민연금공단은 민관합동으로 개발한 노후준비 지표를 이용해 전국 성인 남녀(만 35∼64세) 1천35명을 대상으로 노후준비에 관한 예비조사를 한 결과 평균 점수가 55.2점으로 노후준비가 미흡한 것으로 평가됐다고 15일 밝혔다.

특히 영역별로는 ‘사회적 관계’ 점수가 평균 63.9점, ‘건강한 생활습관’이 68.2점으로 평균치를 크게 웃돌았지만, ‘소득과 자산’은 40.5점, ‘여가활동’ 분야도 48.1점에 그쳤다.

소득과 자산 등 경제적인 부문의 노후 준비 상태를 보면 자산규모가 노후생활을 하기에 부족하고 예금이나 보험 등 ‘사적자산’ 비중이 높은 유형이 전체의 35.4%로 가장 많았다. 반면 자산규모가 노후생활비를 충당하기에 부족하면서 국민연금 등 공적자산 비중이 높은 유형은 전체의 33.4%였다.

성별로 보면 남성의 노후준비 점수는 평균 54.8점, 여성은 55.6점으로 성별에 따른 차이는 크지 않았다.

그러나 연령대별 조사에서는 30대 52.9점, 40대 55.3점, 50대 57.0점, 60대 53.1점으로 노후가 임박한 60대 노년층의 준비 정도가 미흡한 것으로 조사됐다.

학력별로는 중졸이하가 50.5점, 고졸이 54.4점, 대졸 이상은 58.2점으로 학력이 높을수록 점수가 높았고, 혼인 상태별로는 기혼 56.9점, 미혼 42.8점, 이혼·별거·사별 43.9점으로 기혼과 홀몸인 경우의 격차가 컸다.

주거지역별로는 대도시 54.8점, 중소도시 55.4점, 농어촌 55.7점으로 큰 차이가 없었고, 직종별로는 화이트칼라(59.1점)가 블루칼라(53.8점)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에 활용된 노후준비 지표는 사회적관계, 건강, 소득과 자산, 여가활동 등 4개 영역 42개 지표로 구성됐다.

특히 이번 지표개발에는 삼성생명연구소와 메트라이프, 미래에셋투자교육연구소, 보험개발원, 보험연구원 등 민간 기관과 학계 인사 등이 참여해 의견을 제시했다.

복지부는 16일 민관 합동 콘퍼런스를 통해 이번에 보완된 지표와 예비조사 결과에 대해 논의하고 전문가 의견을 수렴한 뒤 하반기에는 일반국민 3천명 가량을 대상으로 본조사를 한다는 계획이다.

복지부 이재용 고령사회정책과장은 “일반 국민에게 보편적으로 적용가능한 노후준비지표를 확정하고, 온라인 진단 프로그램 및 스마트폰 앱으로 개발해 전국민이 수시로 자신의 노후준비 수준을 점검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이 과장은 또 “노후생활지원에 관한 법률을 제정해 생애 전환기마다 노후설계교육을 이수하도록 유도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