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사 뇌관’ PF 11조원 만기…3조원 부실

‘건설사 뇌관’ PF 11조원 만기…3조원 부실

입력 2012-07-12 00:00
수정 2012-07-12 08:4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당국, 부실사업장 최대 1~2조원 추가매입 추진

건설업계 줄도산의 ‘뇌관’인 은행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금이 올해 11조원가량 만기를 맞는다.

만기 연장이 어려울 것으로 보이는 부실 사업장은 3조원에 육박한다.

12일 금융당국과 은행권에 따르면 은행들의 PF 대출 잔액 28조1천억원 가운데 30~40%의 만기가 올해 몰렸다.

국민ㆍ우리ㆍ신한ㆍ하나 등 4대 시중은행의 PF 만기도래 비율은 평균 39.2%다. 만기도래 비율이 50%를 넘는 곳도 있다.

은행들은 침체된 건설경기 탓에 만기가 돌아온 PF 대출 가운데 부실하거나 사업성이 불투명한 대출을 회수할 계획이다.

금융감독원은 현재 은행권 PF 대출의 약 9%가 ‘고정이하’에 해당하는 것으로 추정했다. 28조1천억원 가운데 2조6천억원이 부실 대출이란 뜻이다.

은행 PF 대출의 부실은 제2금융권 PF 대출의 부실로 연쇄 작용할 수 있다.

한 사업장에서 제2금융권이 컨소시엄 형태로 시행사에 PF 대출을 하고, 은행이 시공사에 PF 대출을 하는 등의 사례가 적지 않기 때문이다.

제2금융권 PF 대출 잔액 18조6천억원도 은행 PF 대출과 사정이 다르지 않아 실제 부실 규모는 이보다 훨씬 크다.

당국은 금융권과 건설업계에 ‘PF 공포’가 커지자 종합 지원대책을 서둘러 마련하고 있다.

금감원은 지난해 만들어진 ‘PF 정상화뱅크(부실채권을 사들여 정상화하는 배드뱅크)’의 지원 규모를 늘릴 방침이다.

은행들이 정상화뱅크 사모투자펀드(PEF)에 자본금을 더 출자해 할인 가격으로 각 은행의 PF 채권을 매입하는 방식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사업장을 A~D 4단계로 평가해 고정이하로 분류된 CㆍD 등급 채권을 사들이겠다”고 밝혔다.

이 가운데 워크아웃(기업 재무구조 개선) 과정인 사업장은 매입 대상에서 제외된다.

금감원은 여러 채권자의 이해관계가 얽힌 PF 사업장의 워크아웃 가이드라인도 은행들과 함께 만들고 있다.

가이드라인에는 시행사 대주단과 시공사 채권은행의 자금회수 원칙, 분양 대금의 분배 기준 등이 담긴다.

금융위원회 고위 관계자는 “채권자 간 혼선을 줄이고 건설사가 일시적인 유동성 부족으로 무너지지 않게 하는 방향으로 지원책을 내놓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남북 2국가론’ 당신의 생각은?
임종석 전 대통령실 비서실장이 최근 ‘남북통일을 유보하고 2개 국가를 수용하자’는 내용의 ‘남북 2국가론’을 제안해 정치권과 학계에서 갑론을박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반헌법적 발상이다
논의할 필요가 있다
잘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