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銀의 역발상!

우리銀의 역발상!

입력 2012-07-06 00:00
업데이트 2012-07-06 00:2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연체율 뛰는 집단대출 공격적 영업 성공여부 금융계 촉각

우리은행이 연체율이 치솟고 있는 집단대출을 늘리고 있다. 리스크 관리에 들어간 다른 은행들과 정반대의 행보다. 이순우 우리은행장의 ‘역발상’이 위기를 기회로 삼는 과감한 승부수인지, 부실을 부르는 무모한 도전인지 금융권이 주목하고 있다.
이미지 확대
이순우 우리은행장 연합뉴스
이순우 우리은행장
연합뉴스


5일 국민·우리·신한·농협·하나·기업·외환은행 등 7개 시중은행의 지난달 말 집단대출 잔액은 89조 9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말보다 1.3% 감소했다. 집단대출은 신규 아파트 분양자에게 중도금과 잔금을 단체로 빌려주는 것인데, 최근 집값이 떨어져 분양가를 밑돌자 분양자들은 입주를 미루고 대출금도 갚지 않고 있다. 이 때문에 지난해 말 1.18%였던 집단대출 연체율이 지난 5월 말 1.71%까지 오르면서 은행들이 골머리를 썩이고 있다.

은행 대부분은 집단대출 줄이기에 적극 나섰다. 국민은행은 올 들어 집단대출 잔액을 1조원 이상 줄였고, 하나은행도 지난해 말 대비 집단대출이 7.9% 감소했다. 외환은행(-2.7%)과 신한은행(-2.2%) 등도 사정이 비슷하다.

하지만 우리은행은 나홀로 늘리기에 나섰다. 올해 상반기에만 집단대출 잔액이 1조원가량 늘었다. 은행에 돈이 넘쳐나고 대출할 곳은 마땅치 않은 상황에서 집단대출을 통해 영업을 강화한다는 전략이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연체율이 높은 중도금 대출을 늘린 것이 아니라, 입주를 마친 가구에 해 주는 담보대출이 증가한 부분이 크다.”면서 “집단대출 가운데 실수요가 있고 건전성이 좋은 대출을 늘린 것이어서 리스크 관리에는 문제가 없다.”고 설명했다.

오달란기자 dallan@seoul.co.kr

2012-07-06 17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