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자문사들의 57%가 자본잠식…최악상황

투자자문사들의 57%가 자본잠식…최악상황

입력 2012-07-02 00:00
업데이트 2012-07-02 04:4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랩잔고 고점대비 42% 급감…수익기반 잠식ㆍ신뢰위기 겹쳐 자본硏 “헤지펀드 진입요건 완화 수익기반 확충 필요”

전업 투자자문사들이 유럽발 금융위기로 최악의 상황을 맞고 있다.

수익기반인 자문형랩 잔고가 작년 고점과 비교해 불과 1년 사이 42% 급감한데다 신뢰위기까지 겹쳐 투자자금 이탈이 잇따랐기 때문이다.

2011 회계연도 기준으로 전제 전업 투자자문사 가운데 57% 가량이 적자로 자본잠식 상태에 빠졌다. 올해 유로존 위기와 미국과 중국 등 글로벌 경기침체 우려로 증시상황이 어느 때보다 불확실해 상당수의 자문사가 퇴출위기에 직면할 것으로 우려된다.

2일 금융감독원과 금융투자협회 등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2011 회계연도(2011.4∼2012.3)에 159개 전업 투자자문사 가운데 90개사(56.60%)가 자본잠식 상태에 빠졌다.

또 자문형랩 잔고가 연중 최고인 작년 5월말 9조1천824억원에서 지난 4월말 5조3천557억원으로 불과 1년 사이에 41.67%(3조8천267억원)이나 줄어드는 등 수익기반이 급격하게 취약해진 상태다.

게다가 유럽위기가 진정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올해 증시의 지속적인 부담 요인으로 수익성을 더 악화시킬 가능성이 있어 투자자문사들이 느끼는 압박감은 어느 때보다 크다.

국내 전업 투자자문사는 2008년말 92개에서 지난 3월말 현재 159개로 70% 이상 증가하고 총 계약잔고도 12조원에서 23조2천억원으로 2배가량 늘렸지만 질적성장이 뒷받침이 안돼 후폭풍을 맞고 있는 셈이다.

총 계약 잔고도 작년 3월말의 26조1천억원에 비교하면 11.1%(2조9천억원)이 줄었다. A투자자문사 사장은 “작년에 15억원의 순이익을 냈는데 올해는 이미 적자난 상태”라며 “상위사 몇개를 빼면 적자나는 자문사가 속출해 하반기에 장이 살아나지 않는다면 문을 닫는 자문사가 크게 늘 것”이라고 우려를 감추지 못했다.

B투자자문사 사장은 “자문형 랩시장이 지금처럼 크게 손해를 본 적이 없다. 이번에 수익률 급감으로 투자자들이 마음 고생을 많이 했다. 다시 자문형 랩시장으로 투자가 유입되려면 시일이 좀 걸릴 수 있다”라며 투자자들의 신뢰회복이 자문사 정상화의 급선무라고 지적했다.

자본시장연구원 송민규 연구위원은 “다수의 중소형 투자자문사들이 고유한 사업영역이 존재하지 않아 지속적인 수익성 악화에 직면하고 있다”며 “헤지펀드의 진입요건을 대폭 낮춰 수익기반을 확충해줄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송 연구위원은 “자본시장법 시행령에 투자자문업자와 투자일임업자의 최소자기자본요건이 각각 2억5천만원과 7억5천만원인데 헤지펀드를 운용하려면 자기자본 60억원, 일임재산 5천억원 이상을 갖추게 돼 있다. 이 진입장벽을 낮춰 중소형 헤지펀드를 활성화하는 방향으로 정책기조를 전환해야 한다”라고 제안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