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동칫솔·위스키·샴푸 가격 FTA에도 요지부동

전동칫솔·위스키·샴푸 가격 FTA에도 요지부동

입력 2012-06-21 00:00
업데이트 2012-06-21 13:2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전기다리미, 오렌지 등 다른 품목 가격은 대부분 인하

황대일 기자= 자유무역협정(FTA) 발효 이후 유럽연합(EU)과 미국에서 들여온 제품의 가격이 대부분 내렸으나 전동칫솔 등 일부 품목은 가격변화가 거의 없거나 되레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공정거래위원회는 소비자단체, 한국소비자원과 공동으로 한미 FTA 발효 직후인 올해 3월 중순부터 유럽 및 미국에서 들여온 제품의 가격동향을 감시한 결과를 21일 발표했다.

감시 대상은 관세가 철폐되거나 인하된 제품 중 소비량이 많고 인지도가 높은 22개(EU산 9개, 미국산 13개)다. 이들 품목 가운데 15개 품목의 가격이 내려갔다.

한ㆍEU FTA와 관련한 품목을 보면 9개 가운데 6개 품목의 가격이 내려갔다. 전기다리미 테팔 FV9530이 4월7일 이후 26.5% 낮아져 최대 감소폭을 기록했다. 유모차(잉글레시나)와 전기면도기(필립스 RQ1260CC)도 각각 10.3%, 4.4% 하락했다.

와인은 FTA 발효 직후인 지난해 7월 가격이 내려갔고 승용차는 수입업체가 마케팅 차원에서 FTA 이전에 관세 인하분을 미리 반영하여 가격을 내린 영향으로 두 품목의 가격 변동은 거의 없었다.

한ㆍ미 FTA 관련 품목은 13개 가운데 9개 가격이 내려갔다.

전기면도기는 필립스 RQ 1260CC을 포함한 7개 제품의 가격이 3∼5% 인하됐다. 프라이팬은 3개 제품 가격이 4.7∼20.1% 떨어졌다.

체리(레드글러브 48.2%), 오렌지(네이블 17.6%), 오렌지ㆍ포도주스(웰치스 8.6%), 아몬드(캘리포니아 8.8%) 등의 하락폭도 컸다.

그러나 일부 품목은 가격 변동이 없거나 오히려 소폭으로 상승했다.

전동칫솔 브라운 오랄비 트라이엄프 4000의 소비자 가격이 FTA 이전인 2011년 6월 14만8천원이었으나 11월에는 15만9천원으로 올랐다. 제품 업그레이드, 국제유가ㆍ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수입가격 자체가 높아졌기 때문이라고 수입업체는 주장했다.

위스키와 맥주는 가격 변동이 거의 없었다. 물류비 등 원가 상승분이 관세인하 효과를 상쇄했다고 수입업체가 설명했다.

특히 미국산 호두는 2011년 1분기 대비 2012년 1분기에는 무려 21.1% 급등했다. 미국 현지의 작황 부진이 원인으로 지적됐다.

샴푸ㆍ치약은 관세인하율이 1.2∼3%에 그쳐 가격 인하 여지가 적었다고 공정위가 전했다.

공정위는 FTA 관련 품목의 소비자가격 동향을 지속적으로 점검해 가격 인하폭이 관세 철폐ㆍ인하분만큼 충분하지 않을 때에는 소비자단체, 소비자원과 공조해 원인 등을 분석한 정보를 공개할 방침이다.

특히 밀약, 재판매가격 유지, 온라인 판매 방해 등 법 위반 혐의가 포착되면 곧바로 직권조사에 들어간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