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1인당 GDP 2016년 3만弗 돌파”

“한국 1인당 GDP 2016년 3만弗 돌파”

입력 2012-04-24 00:00
업데이트 2012-04-24 00:3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IMF 세계경제 전망

2009년부터 2011년까지 국내에 유입된 외국 자본이 다 빠져나가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 우리나라의 올해 경제성장률이 3% 포인트 줄어들고 부채는 국내총생산(GDP) 대비 7% 줄어들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23일 국제통화기금(IMF)의 금융안정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2009년 GDP 대비 6%, 2010년 3%, 2011년 2%에 해당하는 외국 자본(은행 차입과 주식·채권투자 모두 포함)이 들어왔다.

한국은행의 GDP 발표치에 이를 적용하면 2009년 500억 달러(약 57조원), 2010년 304억 달러(약 37조원), 지난해 223억 달러(약 25조원)가량이 들어왔다.

IMF 연구팀은 2009~2011년 해외자본이 유입됐던 17개국을 상대로 자본 유출 시 결과에 대한 시뮬레이션 작업을 했다. 그 결과 우리나라에 가장 심각한 것은 부채 축소였다.

유럽 은행들이 디레버리징하는 과정에서 신흥국에 유입됐던 자금이 돌아가면 은행들이 민간 분야에 대한 대출을 줄이게 된다. 그 과정에서 말레이시아가 2012년 예상 GDP 대비 10%의 부채 축소, 우리나라는 7%가 줄어들 것으로 전망됐다. IMF의 올해 우리나라 경제성장률 전망치(3.5%)를 감안해 부채 감소폭을 계산하면, 809억 달러(약 92조원)가 올 한해 동안 줄어드는 규모다. 900조원이 넘는 가계 부채의 10%에 해당한다. 경제성장률은 3% 포인트 감소하고 원·달러 환율은 6% 하락할 것으로 예상됐다.

IMF는 또 우리나라의 1인당 GDP가 2016년에 3만 달러를 돌파할 것으로 전망했다. 환율과 물가 등을 감안한 구매력평가(PPP) 기준 1인당 GDP는 2016년 4만 달러를 넘어서고 2017년에는 일본을 추월할 것으로 예측됐다.

IMF의 세계경제전망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1인당 GDP는 2016년 3만 897달러, 2017년 3만 3031달러로 예측됐다. PPP 기준 1인당 GDP는 2016년 4만 815달러, 2017년 4만 3141 달러다. 일본의 1인당 GDP는 2017년 5만 3762달러지만 물가수준이 감안된 PPP 기준 1인당 GDP는 4만 2753달러로 구매력은 우리나라에 뒤처질 것으로 예상됐다.

우리나라의 1인당 GDP는 1995년 1만 1779달러로 1만 달러를 넘은 뒤 2007년 2만 1653달러로 2만 달러를 돌파했지만 글로벌 금융위기로 2만 달러 이하로 떨어진 뒤 2010년 2만 765달러로 2만 달러선을 회복했다.

전경하·홍희경기자 lark3@seoul.co.kr

2012-04-24 6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