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디스 韓 등급전망 ‘긍정적’으로 상향

무디스 韓 등급전망 ‘긍정적’으로 상향

입력 2012-04-02 00:00
업데이트 2012-04-02 11:4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재정ㆍ대외건전성 유지 땐 ‘사우디ㆍ일본’ 등급

국제 신용평가사인 무디스는 2일 한국의 국가신용등급 전망을 ‘안정적(stable)’에서 ‘긍정적(positive)’으로 상향조정했다.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무디스는 “한국 경제의 장점인 재정·대외 건전성이 계속되고, 대북 리스크가 안정적으로 관리된다면 AA레벨 진입도 가능하다”고 평가했다.

등급 전망이 ‘긍정적’으로 올라가면 통상적으로 신용등급 자체도 1년 정도 후에 높아진다. 현재 한국의 신용등급인 A1(positive) 바로 한 단계 위는 Aa3로 사우디, 중국, 일본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

무디스는 등급 전망을 높인 이유로 재정건전성, 대외건전성, 은행 부문의 대외취약성 감소, 양호한 경제성장 전망 등을 제시했다.

재정건전성과 관련해서는 한국이 글로벌 금융위기와 유로존 재정위기에도 국가채무 규모가 안정적이며 재정이 건전하다고 밝혔다.

대외건전성에는 한국의 경제성장 전망과 낮은 물가를 고려할 때 정부의 채무 상환 능력에는 문제가 없을 것으로 내다봤다. 국내 은행들의 단기 외채가 감소하는 등 은행 부문의 대외취약성도 완화됐다고 설명했다.

북한이 김정은 체제로 이행했지만 한미 동맹을 바탕으로 지정학적 리스크를 안정적으로 관리하고 있다는 점도 등급 전망 상향에 도움이 됐다.

무디스는 2010년 4월 한국의 신용등급을 외환위기 전 수준인 ‘A1’ 등급으로 상향조정했다.

피치는 글로벌 금융위기 발생 직후인 2008년 11월 한국의 신용등급 전망을 ‘부정적’으로 낮췄다가 2009년 9월 ‘안정적’으로 환원하고, 지난해 11월에는 ‘긍정적’ 평가를 했다.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S&P)는 2005년 이후 현행 등급(A)을 유지하고 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