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물가 2.6%↑…19개월來 2% 진입

3월 물가 2.6%↑…19개월來 2% 진입

입력 2012-04-02 00:00
업데이트 2012-04-02 08:3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총선 이후 유가ㆍ원자재 상승은 불안요인”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19개월 만에 2%대로 떨어졌다.

그러나 고유가가 이어지고 도시가스비, 지역난방비, 하수도요금이 급등한 탓에 서민들의 체감 물가는 오히려 나빠졌다.

전ㆍ월세 시세의 강세가 여전한 상황에서 전철과 시내버스 요금 인상까지 겹쳐 통계상 물가지표와 체감물가의 괴리가 커졌다.

2일 통계청의 소비자물가동향을 보면 3월의 소비자물가지수는 지난해 같은 달보다 2.6% 오르고 전월보다는 0.1% 내렸다.

전년 동월 대비 상승률은 2010년 8월 2.7% 이후 처음으로 2%대로 내려왔다. 최근 상승률은 지난해 11~12월 각 4.2% 뛰었다가 지난 1~2월 3%대로 낮아졌다.

농산물과 석유류를 제외한 근원물가는 3월에 전년 동월보다 1.9% 올라 작년 3월(3.0%) 이후 12개월 만에 1%대로 둔화했다. 전월보다는 0.4% 내렸다.

작년 동월 대비 상승률(2.6%)에 영향을 미친 부문별 지수를 보면 작년 3월보다 축산물(-10.1%), 내구재(-1.3%)가 가격 인하 효과를 냈다. 그러나 농산물(9.4%), 석유류(6.0%), 전기ㆍ수도ㆍ가스(5.7%) 등은 물가를 밀어올렸다.

전월 대비로도 농산물(2.8%), 석유류(2.1%), 집세(0.5%), 공공서비스(0.4%) 등이 오름세를 이끌었다.

지출 목적별로는 작년 3월 대비로 주택ㆍ수도ㆍ전기(5.4%), 의류ㆍ신발(5.0%)이 5%대 상승률을 보였다. 식료품ㆍ비주류음료(4.9%)는 배추, 풋고추, 무 가격이 폭등하며 눈에 띄게 올랐다. 통신(-3.4%), 오락ㆍ문화(-0.2%)는 안정됐다.

전월보다 전철요금과 휘발유 값이 올라 교통(4.6%) 품목이 고공행진했다.

품목별로는 서민 먹거리의 오름세가 두드러졌다.

작년 3월 대비 상승률을 보면 쌀(14.4%), 설탕(13.2%), 우유(11.8%)가 10%대를 웃돌았고 라면도 8.1% 올랐다.

알뜰주유소나 석유제품 전자상거래 시장 개설 등 다양한 대책에도 휘발유(5.3%), 경유(6.0%), LPG(7.4%), 등유(7.4%) 모두 올랐다.

전월세는 작년 같은 달보다 4.9% 올랐고 지난 2월보다도 전세(0.6%), 월세(0.2%) 각각 올라 상승세가 이어졌다.

시내버스요금(9.6%), 전철요금(14.0%), 도시가스요금(9.8%), 상수도요금(2.8%) 등 공공요금 인상도 속출했다. 지난달 지방자치단체에서도 전철료는 서울(15%)ㆍ인천(15%)ㆍ경기(11.3%)에서 크게 올랐다.

보육료와 유치원납입금 인하, 무상급식 확대 등 복지정책이 발효하면서 낙수 효과가 나타나기 시작했다.

보육시설 이용료는 지난 2월보다 서울(-43.9%)ㆍ대전(-42.6%)ㆍ제주(-44.7%)를 비롯해 16개 광역시도 모두 내렸다. 학교 급식비는 전북(-73.6%)ㆍ경기(-31.0%)ㆍ부산(-11.8%) 등 지역은 내렸지만 전남(68.6%)ㆍ대구(4.0%)처럼 오른 곳도 있었다.

기획재정부는 “3월 대형마트의 가공 식품 가격인하가 물가 안정에 이바지했지만, 농산물가격 불안과 혼란스러운 국제유가가 상승 요인이 됐다”고 평가했다.

기재부는 “4월 총선 이후 유가ㆍ원자재가 상승분은 불안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